반응형 전체 글267 관찰과 창의력의 관계 , 관찰력을 신장시키는 패턴 드로잉 방법 1. 관찰과 창의력의 관계 (1) 찾아내기 : 남들과 다르게 발견하는 힘 관찰은 사물을 분석하는 첫 번째 과정입니다. 사물을 주의 깊게 탐구하여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찾아내는 시선이나 습관을 가진 아이가 있다면 , 그 아이는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사람 일아 말할 수 있습니다. 관찰할 때 아이들의 관점은 어른들보다 훨씬 순수하고 주관적입니다. 아이들은 어른들이 놓치기 쉬운 세밀한 것을 찾아내는 것을 좋아합니다. 특히 아이들은 꽃이나 동물, 바다 조개 등 자연적인 소재를 좋아하며 이것들에 대해 세심한 관심을 가지고 이야기를 만들어 냅니다. 이뿐 아니라 때로는 보이지 않는 내부의 구조나 반대 방향의 형태까지도 그림에 표현합니다. 이러한 방식에 익숙한 아이들은 수학이나 과학에서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문.. 2022. 3. 18. 미술교육의 이해와 실제 프로그램 (1) 레니 샌들 ( Renee Sandell )의 이론 - 미술의 3요소란? ① 형태 form ( 그림의 실제 ) ② 주제 theme ( 그림의 주제 ) ③ 배경 context ( 그림을 만든 배경 ) -좋은 미술 교육이란? ① 균형 있는 교육 ( 기술적 관점과 창의적 관점에서) ② 다른 과목과의 연계교육 ③ 의미 있는 교육 ( 과제가 교육적이거나 커리큘럼에 기여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 미술 평가 기준표를 만들 때 교사가 지켜 주어야 할 주의 사항 ① 평가 기 주뇨의 중요성을 충분히 숙지하여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② 과제의 주제와 관련된 것이어야 합니다. ③ 주제와 과제가 나이에 적합해야 하고 공정하고 윤리적이어야 합니다. (2) 뉴욕 주의 미술 교육 프로그램 및 평가 방법(초등학교 3~4학년).. 2022. 3. 17. 로웬펠드의 이론과 아동화의 발달 단계 II (4) 사실주의가 나타나는 시기 The Dawning Realing (만 9~12세) ① 로웬 펠드의 이론 : 또래 집 단기 사회생활에 적응하면서 사물을 객관적으로 보며 형태를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시기입니다. 같은 성의 또래 친구들과 어울리는 시기로 한 사람보다는 여러 사람들을 그룹으로 그리며 사실적인 그림을 그리려 합니다. 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시작하는 시기로, 공간, 질감, 비례, 크기 등에 대하여 어느 정도 인지하고 구도를 이해하는 시기입니다. 사물을 겹쳐 그린다거나 공간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가족이나 집, 나무, 동물 등 주변 소재들을 중심으로 그림을 그리며, 사람의 얼굴도 세부적으로 표현합니다. 색상도 주관적인 것에 서 벗어나 실제 대상에서 보이는 색을 만들어 사용하게 됩니다. 그러나 실.. 2022. 3. 16. 로웬펠드의 이론과 아동화의 발달 단계 I 이론가 소개 빅터 로웬펠드 Viktor Lowenfeld, 1903 ~1960 심리학자이자 화가, 저술가로, 현대 미술교육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미술 교육학자입니다. 1903년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난 그는 어려서부터 악기 연주와 그림 그리기를 좋아했는데, 이는 그가 교육 분야와 시각 예술, 공연 예술을 좋아하고 연구하게 된 동기가 되었습니다. 빈에서 미술 아카데미를 졸업한 뒤에 초등학교 교사와 시각장애인 학교에서 미술과 책임자로 일하다가 1938년 나치 반 유대 정책으로 35세에 미국으로 이주했습니다. 1939년 버지니아 햄프턴 대학교의 조교를 거쳐 1946년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에서 미술교육학 정교수로 일하며 아동 미술교육 분야에서 주요 업적을 남겼습니다. 아동화 발달 단계는 아이들의 개인적인 성격,.. 2022. 3. 15. 드로잉과 사고의 전환_ 드로잉과 창의의 관계 드로잉과 창의의 관계 (1) 드로잉은 생각을 종이에 옮기는 힘입니다. 아이들이 창의적인 생각을 머릿속에 떠올린다고 해도 그것을 구체적으로 종이에 가시화하지 못한다면 이는 상상에만 머물 뿐이며 아이디어라고 볼 수 없습니다. 즉, 관찰이 창의력을 태동시키는 단계라면, 드로잉은 창의력을 가시화시키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아이디어를 종이에 옮기는 것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되새기는 동시에 상대방을 이해시키는 적극적인 표현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동미술에서 드로잉은 모든 창작 활동의 시발점이며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일차적 창작 행위입니다. 그런데 고학년의 경우 사진과 똑같이 그리려는 시도가 자주 발견됩니다. 이는 좋은 그림에 대한 편견에서 비롯된 결과입니다. 도 로잉을 잘한다는 말은 기술.. 2022. 3. 14. 창의 미술교육 _ 좌우뇌 분할 이론 , 우뇌 좌뇌의 역할 미국의 심리학자 로저 W , 스페리( Roger W, Sperry )는 1981년에 좌우뇌 이론으로 노벨상을 수상 했습니다. 대뇌는 좌뇌 우뇌로 나누어 있는데, 이 뇌들은 각각 반대편에 있는 몸의 지각운동을 담당하며 다른 기능들을 합니다. 좌뇌가 발달한 사람들은 언어 능력이 우수하며 객관적이고 분석적인 생각, 숫자 등에 친근하며 이성적, 논리적이라고 합니다. 반면에 예술을 하는 사람은 감성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우뇌가 이성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좌뇌보다 훨씬 발달되어 있다고 합니다. 우뇌가 발달한 사람들은 감성적이므로 감정표현을 잘하며, 주관적이고 사려 깊으며, 음악이나 그림 또는 색상을 좋아한다거나 내면세계가 풍부하고, 글보다는 이미지에 더 익숙합니다. 그러나 좌-우뇌가 서로 보완 작용을 하는 것은 물론입.. 2022. 3. 13. 창의미술의 첫걸음 _ 다중 지능 이론 하버드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인 하워드 가드너( Howard Gardner )가 1983년 저술한 ' 정신의 구조 : 다중지능 이론 ' 은 어린아이들의 다양한 관점에서 찾아내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중요한 지침서입니다. 다중지능 이론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여러 가지 다중지능 이론을 접합시켜 학생들의 강점을 계발할 수 있는 학습 계획을 다양하고 폭넓게 만들 수 있습니다. 두 번째, 학생들이 관심 있어하는 분야의 주제가 크게 늘어납니다. 세 번째, 학생 개인이 가지고 있는 남과 다른 재능을 찾아내어 계발시켜 줄 수 있습니다.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은 아이들의 지능을 다음과 같이 8가지로 나눕니다. ① 음악적 지능( Musical intelligence ) : 리.. 2022. 3. 12. 미술 창의 교육 _ 창의 적인 교사 원칙 10가지 II (5) 눈과 손으로 그리게 하라. 고학년 어린이들이 사물을 그릴 경우 대개는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합니다. 하나는 생각으로 그리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보고 그리는 것입니다. 사물을 보고 그리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때 아이들로 하여금 눈으로 자세히 관찰하고 본 것을 그대로 손으로 그리게 해야 합니다. 아이들의 관찰은 주관적이기 때문에 보고 그리는 습관은 창의 미술 교육에서 중요합니다. 한 번 슬쩍 대상을 보고 머리에 찍어 놓은 기억으로 그림을 그리는 것이 습관이 되면, 아이는 관찰력이 부족해지고 대충 그리는 나쁜 습관을 기르게 되며, 항상 똑같은 그림을 그리게 되거나 인내심 없는 가벼운 정서로 발전하게 됩니다. (6) 지우개의 사용을 제한하라. 아이들에게 지도할 때 지우개의 사용을 최소화시키.. 2022. 3. 11.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3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