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인 하워드 가드너( Howard Gardner )가 1983년 저술한 ' 정신의 구조 : 다중지능 이론 ' 은 어린아이들의 다양한 관점에서 찾아내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중요한 지침서입니다.
다중지능 이론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여러 가지 다중지능 이론을 접합시켜 학생들의 강점을 계발할 수 있는 학습 계획을 다양하고 폭넓게 만들 수 있습니다.
두 번째, 학생들이 관심 있어하는 분야의 주제가 크게 늘어납니다.
세 번째, 학생 개인이 가지고 있는 남과 다른 재능을 찾아내어 계발시켜 줄 수 있습니다.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은 아이들의 지능을 다음과 같이 8가지로 나눕니다.
① 음악적 지능( Musical intelligence ) : 리듬, 음조 등에 민감한 음악적 지능을 말합니다. 음악적 지능이 뛰어난 사람은 악기를 좋아하고 진동 등과 관련된 언어적 재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민감성이 있으며 문제를 해결하려는 성격이 강한 경우입니다.
②공간적 지능( Spatial Intelligence ) : 시각적, 공간적 세계를 인지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시각적 지능이 뛰어난 사람은 무엇 보다도 시각적 언어나 표현을 즐기며, 이런 방법으로 대화하는 데 익숙하며 우수합니다. 평면적 공간을 활용하는 그래픽 디자이너, 예술가등이 이에 해당하며, 이들은 선, 색, 형태, 공간 등의 관계에 민감합니다. 반면 공간적 지능에 익숙한 이들로는 건축가, 실내장식 디자이너, 조경가 등이 있습니다.
③ 언어적 지능( Linguistic Intelligence ) : 소리나 단어의 음절 등의 언어를 활용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언어적 지능이 높은 사람은 말하기나 글쓰기를 잘하며, 언어를 빨리 습득하고 풍부한 어휘력과 자기표현 능력이 뛰어나며 토론 능력이 있습니다. 변호사, 작가, 시인, 웅변인 등이 이에 속합니다. 글을 잘 쓰는 사람 중에는 창의력이 뛰어난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림을 그릴 때 글이나 만화를 곁들이는 이들은 언어적. 시각적 지능이 함께 발달된 경우입니다. 반대로 예술성은 있지만 언어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④ 논리 - 수학적 지능(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 : 수학적 이론이나 과학적 추론 등의 문제 해결 능력을 말합니다. 논리 - 수학적 지능이 높은 사람은 숫자 등에 능하며 논리적으로 문제를 푸는 능력과 추리 능력 등을 가진 사람입니다. 지능 중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이 지능은 대부분의 경우 과학, 수학적 사고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건축이나 컴퓨터 공학 등은 수학적 지능이 가장 필요한 과목이면서도 동시에 형태적, 공간적 예술 지능이 필요한 과목입니다.
⑤ 신체- 운동 지능( Bodily - Kinesthetic Intelligence ) : 자기의 신체를 잘 통제하거나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신체 - 운동 지능이 높은 사람은 선천적으로 운동, 균형, 민첩성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감각이 뛰어납니다. 춤을 추거나 레크리에이션을 한다거나, 스포츠, 경호, 무술적인 행동을 좋아합니다. 기구 등을 잘 다루거나 몸의 반사운동이나 동작과 연관된 일을 합니다.
⑥ 대인 관계 지능( Interpersonal Intelligence ) : 다른 사람들과 교류하면서 타인의 의도나 동기, 욕심 등을 이해하며 그들의 행동을 해석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대인 관계 지능이 높은 살마은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몸짓, 기분 , 의향이나 얼굴 표정 등을 보고 그 사람을 잘 이해하고 상황에 잘 대처하며 다른 사람과 일을 잘할 수 있는 사람들입니다. 이런 사람 중에는 교육자나 세일즈맨, 종교 지도자, 정치가, 상담자, 성직자 등이 많으며 지적 내면세계가 잘 훈련된 사람 들입니다.
⑦ 자기 이해 지능( Intrapersonal Intelligence ) : 자기감정에 충실하며 그것을 이해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말합니다.이지 능 높은 사람은 자존감이 강하며 자기 향상과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습니다.
⑧ 자연 탐구 지능( Naturalist Intelligence ) : 가드너가 최근에 추가 능 지능으로, 자연현상에 대한 유형을 규정하고 분류하며, 식물이나 주변의 사물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능력입니다. 특히 아이들이 자연 탐구 지능을 사용하기를 좋아합니다. 아이들은 자연에 대해 아주 흥미로워하며 그리기를 좋아하고 탐구하며 마치 전문가가 된 것처럼 대하고 분석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이를 그림 그리기에 적합적 주제로 잘 활용하면 그리기에 취미를 붙이고 흥미를 유도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I 자연 탐구 지능에서 다룰 수 있는 주제
. 자연 생태계 : 공원, 산, 바닷가 , 숲, 연못 등의 야외수업에서 찾아낸 돌, 식물, 꽃, 곤충, 파충류 등의 형태나 디자인, 색상, 움직임, 습성( 자연에서 수집한 돌, 나무, 꽃, 조개껍질, 깃털 등의 형태와 질감을 관찰한 뒤에 이를 그림과 연관시켜 그리거나 자연의 소품들을 이용한 창의적인 만들기 등의 수업을 한다. )
. 식물 : 시립식물원이나 학교 온실, 과수원, 농장 등에서 자라나는 식물의 열매나 꽃에서 보이는 다양한 과일 또는 씨앗, 꽃씨 등의 형태나 색깔( 이것들의 색깔이나 형태는 디자인 등을 공부하는데 좋은 소재가 됩니다. 특히 열매껍질을 벗기거나 꽃 속의 씨 등의 세부를 관찰하고 그리게 하는 것은 훌륭한 자료가 됩니다. 땅콩이나 고구마처럼 땅속에서 자라나는 농작물을 파내면서 이에 대한 이야기 만들기 등도 재미있는 경험을 제공해 줍니다.
. 동물 습성 : 동물원, 동물농장, 수족관, 또는 집에 있는 반려 동물 등에서 관찰한 동물 등의 습성 및 움직임(이것들의 습성을 이해하는 것은 정서 발달과 감성 계발에 도움이 되며 이것들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그리는 것은 아이들이 만화나 애니메이션 등의 작업을 할 때 친근한 이야기를 만들 수 있는 기본 자료가 됩니다. )
. 기후 환경 : 천체 변화, 사계절에 따른 기후 나 날씨 등과 같이 주기적인 것들의 탐구 ( 이러한 환경에 대한 관찰은 이야기를 만들 때 느낌을 풍부하게 해 주고 눈의 결정체처럼 디자인적 형태를 만들 때 추상적, 사실적, 논리적 설득력을 더해 줍니다. )
<참고 도서_ 상상력이 자라는 미술교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