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술 창의 교육 _ 창의 적인 교사 원칙 10가지 II

by @*ㅔqs! 2022. 3. 11.
반응형

(5) 눈과 손으로 그리게 하라.
고학년 어린이들이 사물을 그릴 경우 대개는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합니다. 하나는 생각으로 그리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보고 그리는 것입니다. 사물을 보고 그리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때 아이들로 하여금 눈으로 자세히 관찰하고 본 것을 그대로 손으로 그리게 해야 합니다. 아이들의 관찰은 주관적이기 때문에 보고 그리는 습관은 창의 미술 교육에서 중요합니다. 한 번 슬쩍 대상을 보고 머리에 찍어 놓은 기억으로 그림을 그리는 것이 습관이 되면, 아이는 관찰력이 부족해지고 대충 그리는 나쁜 습관을 기르게 되며, 항상 똑같은 그림을 그리게 되거나 인내심 없는 가벼운 정서로 발전하게 됩니다.

(6) 지우개의 사용을 제한하라.
아이들에게 지도할 때 지우개의 사용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들은 자신이 그리는 것이 사실과 다르다고 생각하면 계속 지우고 고치려는 습성이 있습니다. 사람은 컴퓨터가 아니기 때문에 전문가 들조차 의도와는 다르게 잘 안구려 질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그린 그림을 지우기보다는 그 위에 더 짙은 새로운 선을 그리게 해 봅니다. 그러면 틀린 선조차 그림의 한 부분이 되어 개성을 연출시켜 주는 효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지우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사물을 정확하게 보고 조심스레 선을 긋는 습관이 생깁니다. 정 자신 없어하는 어린이들에게는 먼저 H연필로 약간 흐리게 그리게 한 뒤 그 위에 2B 연필로 덧그리게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지우개를 자주 쓰다 보면 종이의 면이 닳아 없어져 색칠할 때 질감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특히 수채 와에서는 물이 흘러내리면서 생기는 종이의 풍부한 질감 효과를 없애 버릴 수 있으므로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7) 재료의 사용과 종이의 규격을 지나치게 제한하지 말라.
교사의 편의에 학생을 맞추지 말고 교사가 학생의 요구에 맞추어야 합니다. 이번 시간은 콜라주 시간이므로 모두 색종이만 잘라 붙여야 한다든가 혹은 의도적으로 종이 규격 등을 제한하여 그림을 그리게 하지 말라. 교사가 그날 주제와 재료를 제시해 주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그것을 따라 하겠지만 , 어떤 아이는 그림을 그리려는 순가에 수업 주제나 소재와는 다른 생각을 떠 올 릴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정형화된 수업보다는 재료나 기법 면에서 큰 틀을 제시해 주되 부분적으로는 학생들의 자율적인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도록 독려해 주어야 합니다.

(8) 결과보다 과정을 중요시하라.
아이들에게는 그림을 그리는 과정이나 즐기는 순간이 결과보다 중요합니다. 결관에 집착하여 어른의 관점이나 완성에 치중하는 것은 아동미술교육의 목적과 상반됩니다. 아이들의 내면의 소리와 자유롭고 순수한 감정을 끄집어내려면, 그들을 격려하고, 그들의 생각과 행위를 존중해야 합니다.

(9) 그림을 완성한 뒤에 의견을 나누거나 글 쓰는 습관을 길러 주어야 합니다.
글을 잘 쓴다는 것은 논리성이 좋다는 뜻입니다. 그림으로 표현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지만 글은 세부사항을 충분히 설명할 수 있습니다. 글을 시각화하는 훈련 또는 그림을 글로 설명하는 훈련을 통해 논리력과 창의력을 키움으로써 지도자로 성장할 수 있고 논술 능력을 기르게 됩니다. 음악, 미술, 문학, 건축 등은 모두 예술 분야에 속하며 이 장르들 간에는 창의적인 연관성이 있습니다. 창의는 감성적인 능력이 핵심 조건이기는 하나, 창의 끝은 논리와 설명으로 귀결됩니다. 아이들은 서로 이야기를 나누면서 또는 공동으로 작품을 제작할 때 창의력을 배가 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이들은 교사나 책에서 배우는 것 못지않게 서로에게 배울 수 있습니다.

(10) 미술 프로그램 와 다른 과목을 연계시키고, 가능한 한 프로젝트 위주로 수업해야 합니다.
미술 프로그램에서 쉽게 저지를 수 있는 실수가, 칠하고 그리는 것에 중점을 두다가 기술적인 면에 한계에 부닥치는 것입니다. 미술 교육이라도 이를 다양한 과목들과 연계하여 가르치다 보면 더 많은 흥미와 큰 폭의 주제들을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주제들을 한 점의 그림이 아닌 연관성이 있는 과정이나 결과를 낳을 수 있는 프로 젝트로 이끌어 가면 좋습니다. 예를 든다면, 동화책을 읽고 주인공 캐릭터를 지점토로 만들었다면 이를 연극 놀이로 연출할 수도 있고 , 만화나 드로잉 등 스토리텔링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