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레니 샌들 ( Renee Sandell )의 이론
- 미술의 3요소란?
① 형태 form ( 그림의 실제 )
② 주제 theme ( 그림의 주제 )
③ 배경 context ( 그림을 만든 배경 )
-좋은 미술 교육이란?
① 균형 있는 교육 ( 기술적 관점과 창의적 관점에서)
② 다른 과목과의 연계교육
③ 의미 있는 교육 ( 과제가 교육적이거나 커리큘럼에 기여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 미술 평가 기준표를 만들 때 교사가 지켜 주어야 할 주의 사항
① 평가 기 주뇨의 중요성을 충분히 숙지하여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② 과제의 주제와 관련된 것이어야 합니다.
③ 주제와 과제가 나이에 적합해야 하고 공정하고 윤리적이어야 합니다.
(2) 뉴욕 주의 미술 교육 프로그램 및 평가 방법(초등학교 3~4학년)
뉴욕 주의 예술교육 프로그램 커리큘럼에 속한 음악, 연극, 드라마, 미술 중에서 여기서는 미술 분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① 수업 목표 : 이해와 방법
- 물감을 다루는 방법(수채화, 템페라 등).
- 물감을 선으로 표현하는 방법.
- 2차색을 섞는 방법과 물감을 엷게 섞는 바업.
- 평면에 질감 효과를 만드는 방법.
- 관찰하여 그리는 법.
- 그림에 계절과 날씨를 표현하는 법.
- 드로잉이나 콜라주 안에 움직이는 사람 형태를 그리는 법.
② 미술의 평가 : 어떻게 결과물들을 평가하는가?
- 개인적인 평가는 간단한 채점표를 사용합니다.
- 채점표는 미술을 가르치고 배우기 위한 계획표에 나와 있는 칠하기, 드로잉, 콜라주 등을 대상으로 합니다.
- 학생들의 작품을 게시판에 전시하고 공평하게 평가합니다.
- 교사는 학생들의 그룹 토의를 관찰합니다.
- 교사와 학생이 작품에 대하여 1:1 토의를 합니다.
③ 평가를 위해 정보를 수집할 경우 교사가 지켜야 할 사항
- 평가 기준표의 중요성을 충분히 숙지하여 주의를 기울
- 과제의 주제와 관련된 것이어야 합니다.
- 나이에 적합해야 하고 공정하고 윤리적이어야 합니다.
- 평가표는 교사가 학생들의 발달 과정을 위해 사용하는 명확한 종합 평가 일뿐 아니라 학생들의 과제 등의 훈련 과정을 기록하는 자료로도 사용합니다.
- 학생들의 작품을 평가하는 평가표를 사용하는 것은 학생과 교사의 토의를 바탕으로 합니다.
- 생각과 원인의 과정들을 배우는 학생들의 입장을 이해합니다.
- 작품에 대한 의지나 목표를 반영합니다.
- 실험적 문제 해결 과정과 결정 과정을 반영합니다.
④ 뉴욕 시 교육청에서 발간한 ' 교사를 위한 2012년 미술 교육 안내서'
훌륭한 미술교사는 학생들의 참여를 이끌고 환경을 고무하는 교육을 합니다. 학생들에게 깊이 있는 토의와 질문을 제시하여 프로젝트에 관한 지식과 이해를 높인 뒤, 학생들에게 작품을 만들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여 아이디어를 내고 작품을 발전시키 고도록 합니다. 그리고 이런 과정을 통해서 조형적 또는 총괄적으로 가치를 부여하게 합니다.
- 생산적인 습관이 정착되어야 합니다.
- 교사는 학생들, 그리고 서로의 관계를 존중해야 합니다.
- 교사는 주어진 시간을 충분히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설명해야 합니다.
- 교사는 개별적이든 또는 작은 그룹이든 큰 그룹이든 가르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 교사는 학생들의 작품과 관련한 진지한 질문과 토의에 적극적으로 관여해야 합니다.
- 교사는 학생들의 질문에 곧바로 진지하게 반응해야 합니다.
- 학생들은 배우는 과정에 동참해야 합니다.
- 학생들은 프로젝트 활동에 귀를 기울이고 참여해야 합니다.
- 학생들은 배울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 학생들의 학급에서 일어나는 일상적 관습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합니다.
- 학생들은 예술과 관련된 컴퓨터 등의 신기술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 학생들은 자신이 배우고 있는 요점에 대해 알고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 학생들은 포트폴리오를 만들고 발표하고 글 쓰는 작업 등을 통해 배운 것을 입증해야 합니다.
- 학생들은 상상력과 창의력을 동원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합니다.
- 학생들은 개개인 또는 공동으로 자료 조사를 하고 평가하고, 작품 제작을 해야 합니다.
⑤ 시각미술 수업의 조망과 평가
시설이 잘 갖추어진 교실이든, 어설픈 곳이든, 또는 이제 막 미술의 세계를 접하는 유치원생이든,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는 고등학생이든 간에, 사려 깊은 교사라면 학생들이 서로 배우고 경쟁하는 관계를 통해 배움을 얻을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방식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좋은 미술교육이란, 다른 좋은 교육과 마찬가지로, 원칙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것입니다.
- 과제를 잘 정리하고 목적을 분명히 합니다.
- 수업 구조를 만들기.
- 일상적인 수업 분위기 만들기.
- 학생들의 노력에 대하여 긍정적인 격려와 반응 보이기.
- 그룹을 형성하여 작품을 하도록 격려하기.
⑥ 교실환경
- 교실에 화실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 교실에 학생들의 완성 작품이나 작업하고 있는 작품을 걸어 두면 효과적입니다.
- 참고 자료나 작가들의 예시 작품을 준비합니다.
- 교실은 정리 정돈을 잘하고 깨끗하게 합니다.
- 재료나 공구 등은 정돈해 두며 항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시켜야 합니다.
⑦ 수업
일상적인 수업은 다음의 사항이 지켜질 때 가능합니다.
- 학생들이 정시에 수업에 참여해야 합니다.
- 학생들이 가져온 준비물이 잘 정돈되었을 때 작품 제작이 가능합니다.
- 학생들이 작업을 할 때는 간섭하지 않습니다.
- 정돈과 보관을 잘해야 합니다.
- 안전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 과제를 충분하게 설명해야 합니다.
- 수업은 정시에 시작합니다.
- 학생들의 경험, 전 시간 과제의 복습, 다른 과목과의 연계, 경쟁심 유도등에 기초하여 의욕적으로 할 수 있는 과제를 소개해야 합니다.
- 과제를 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줍니다.
- 학생은 자신들이 중심이 되어 참여할 때 적극적입니다.
- 학생들의 이름을 부르며 호감을 표현해야 합니다.
- 학생들이 요구하는 바를 질문해야 합니다.
⑧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가 가능할 때
- 교사가 기법을 시범 보일 때.
- 학생들의 작품을 반에서 토의하게 할 때.
- 그룹으로 작업하게 하고 서로 돕게 할 때.
- 평가를 위한 표준을 만들기 위해 참여할 때.
- 작품 비평에 참여할 때.
⑨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가 가능할 때
- 학생들이 창의적인 문제 해결 전략을 사용하도록 기회를 제공합니다.
- 학생들이 비평적 사고를 갖고 경쟁하도록 요구합니다.
- 학생들에게 미학적 판단과 분석 그리고 작품에 대한 해석을 할 기회를 주어야 합니다.
- 다른 학과목과 문학 간의 연결 고리를 만들어야 합니다.
- 학생들에게 자신의 작품 또는 중간 과정을 설명할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 역사적, 사회적 배경과 미술의 심리적 관점을 설명해야 합니다.
- 적합한 요소에 글들을 접목시켜야 합니다.
- 명확하고 잘 준비된 강의 자료는 학생들의 반응을 유도합니다.
- 미술 용어 사용을 독려합니다.
- 미술의 원리와 요소에 대한 명확한 참고 자료를 만들어야 합니다.
- 적절한 활동량의 과제를 주어야 합니다.
- 지역이나 문화센터의 사용을 권장합니다.
<참고도서 _ 상상력이 자라는 미술교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