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가 소개
빅터 로웬펠드 Viktor Lowenfeld, 1903 ~1960
심리학자이자 화가, 저술가로, 현대 미술교육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미술 교육학자입니다. 1903년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난 그는 어려서부터 악기 연주와 그림 그리기를 좋아했는데, 이는 그가 교육 분야와 시각 예술, 공연 예술을 좋아하고 연구하게 된 동기가 되었습니다. 빈에서 미술 아카데미를 졸업한 뒤에 초등학교 교사와 시각장애인 학교에서 미술과 책임자로 일하다가 1938년 나치 반 유대 정책으로 35세에 미국으로 이주했습니다. 1939년 버지니아 햄프턴 대학교의 조교를 거쳐 1946년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에서 미술교육학 정교수로 일하며 아동 미술교육 분야에서 주요 업적을 남겼습니다.
아동화 발달 단계는 아이들의 개인적인 성격, 환경, 흥미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이에 대한 아동 미술교육 학자 들 의견 해는 다양합니다. 이 책에서 이 중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이론이자 V. 로웬펠드의 ' 창의와 정신적 성장'에서 전개된 아동화 발달 과정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기로 합니다.
로웬펠드는 이 연구를 통해 유아가 태어나면서 일정한 발달 단계를 거쳐 성장하듯이, 미술교육도 아이들의 발달 단계에 맞게 주제와 재료, 표현 기법 등 적절한 지도를 해야 한다는 점을 학술적으로 잘 설명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미술교육학자들이 주장하는 공통점은 현대의 교육 환경이 60여 년 전보다 많이 앞서 있을 뿐 아니라 아이들의 특성이나 교육환경도 매우 다양해졌고, 정신적 육체적 연령대가 과거보다 빨라졌다는 것입니다. 유치원에서 중학교 1학년 아이들의 그림 그리는 능력이 로웬펠드의 기준보다 대게는 1~2년 정도 빨랐습니다. 이는 어려서부터 각종 미디어를 접하는 새로운 시대의 생활 패턴과 풍부한 교육자료, 또는 부모의 높은 교육 수준 등의 영향입니다.
따라서 로웬펠드의 이론은 부분적으로 보강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따라서 이 책에서 로웬펠드의 아동화 발달 단계 이론을 토대로 , 필자가 실기적 관점에서 연구한 결과를 구체적으로 접목시킴으로써 현실에 맞는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로웬펠드는 아동화의 발달단계를 정신적 성장에 따라 다음 6단계로 제시했습니다.
(1) 자아를 표현하려는 시기 The Beginning of Self-Expression (만 2~4세)
① 로웬펠드의 이론 : 난화기
난화는 아무렇게나 그리거나 휘말려 그린다는 뜻으로, 유아들이 손을 통제하지 못하고 그리는 순서에 대한 개념도 없이 마구 끄적거리는 낙서를 하는 시기입니다. 무의미한 선을 아무렇게나 마구 그려 놓으며, 선의 굵고 가늚도 유아들의 기분과 상태에 따라서 달라져 최초의 자기표현이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이는 다음 3단계로 나워 설명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무질서한 그림 단계로, 일반 적으로 생후 18개월 이후인 이 초기 난화기에는 아무 곳에서 무의적으로 긁적거리는 그림을 그립니다.
두 번째는 제어된 그림 단계로, 2세 이후에 손을 근육 운동으로 인해 주로 수직선과 동그라미 또는 쉬운 형태를 비교적 제어하는 표현하는 중기 난화기입니다.
세 번째는 이름을 지어 그리는 그림 단계로, 이 말기 난화기에는 대상을 인지하고 한층 구체적인 선들을 그리며, 그려진 것을 주위 사물과 연관시키거나, 엄마, 아빠, 강아지나 친구들의 이름을 붙인 뒤에 이를 설명하고 이야기를 만드는 시기입니다.
* 만 2세경의 시기는 손 근육 운동의 결과로 생긴 선들을 즐기는 단계로, 호기심과 자기표현을 드러내는 첫 단계에 해당합니다. 이때에는 연필보다는 손으로 쥐기 쉬운 크레파스나 선이 뚜렷이 보이는 색 사인펜 등을 주는 게 좋으며, 마음껏 그림을 그릴 수 있는 넓은 종이가 적합합니다. 또한 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찰흙이나 부드러운 재질의 재료를 가지고 만들거나 붙이게 합니다. 교육적인 면에서는 놀이 미술 등을 통하여 즐기는 방향으로 이끌어 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만 3세 경이되면 아이는 단순한 근육 운동에서 벗어나서 시각적인 형태를 인지하고 개념적인 그림을 그리게 됩니다. 이 시기는 사물을 보고 형태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거나 어느 정도 개념화된 그리기가 가능합니다. 다양한 재료나 주제에 관심을 가지면서 아이들의 육체적, 정신적인 능력이 형성되는 시기로, 관찰하고 함께 이야기하면서 사고의 발달에 집중하는 시기가 되어야 합니다.
만 4세가 되면 유치원에 들어가기 직전 단계로, 손의 놀임에서 제한적 자유를 가집니다. 이 나이대는 아직도 난화를 그리는 아이와 어느 정도 그림을 기리는 아이로 구분되는데, 이는 주변의 환경에 영향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이 나이의 아이들은 그림을 오래 그릴 수 없기 때문에 짧은 시간 안에 흥미를 느끼면서 새로운 것을 발견해 나가도록 새로운 재료를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 자신의 표현을 시도하려는 시기 Frist Representational Attemots (만 4세~ 7세)
① 로웬펠드의 이론 : 전 도식기
난화기를 거쳐 처음으로 의도적인 표현을 하는 시기입니다. 생각이나 보이는 대상을 타인이 인지 할 수 있는 정도까지 그리지 못하지만, 사람이나 , 동물, 사물 등의 대상을 최초로 의도적으로 선과 동그라미 등으로 표현하는 단계입니다.
이때 아이는 사물의 중요한 형태를 표현하며 공간과 대상을 구별합니다. 색상을 구별하게 되지만 대상과 상관없이 감성적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색을 사용합니다.
이 시기는 사회적 환경의 경험을 넓혀가는 시기로 , 상징적인 그림을 그리거나 반복적으로 그리는 습관이 있습니다. 또한 사람을 그릴 때는 머리와 몸통을 동그랗게 그리고 난 뒤에 눈, 팔다리 등 본인이 인지한 순서대로 그려 나갑니다. 머리는 원으로 다리나 팔 등은 선으로 나타내며 , 남녀가 구별되지 않습니다. 사실적으로 그리기보다는 지각한 대로 또는 관심 있는 부분들 위주로 그리므로 때로는 과장되게 그립니다.
* 만 5세는 유치원생에 해동하는 나이로 , 자신과 부모나 가족과의 관계, 또는 교사 등 자신을 돌보는 주변 사람들과 관계를 매개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시기입니다. 엄마, 아빠 기타 가족을 머리가 동그랗고 커다랗게 그리기를 좋아하고 자신이 그린 그림에 대해 설명하려고 애씁니다.
만 6세가 원래는 유치원 생지만 생일에 따라서 초등학교 1학년이 될 수 있는 나이입니다. 공간 개념을 이해하게 되는 시기이고, 주변의 새로운 재료나 물건에 큰 호기심을 가지고 실험적 행동을 많이 하며, 아이에 따라서는 자신이 즐겨보던 텔레비전이나 만화 등의 그림을 따라 하는 시기입니다. 아직 정확한 비례 감각을 가지고 있지 못하기에 자신이 좋아하거나 관삼을 가지는 소재를 크게 그리는 특징을 보입니다.
만 7세는 이미 다양한 실험과 과감한 시도들이 나타나는 시기입니다. 이때에 아이들의 생각은 매우 다양하고 개념을 가지고 있지만 , 아이들의 환경에 따라서 표현하는 데는 조금씩 차이가 납니다.
(3) 형태를 이해하는 시기 The Achievement of a Form Concept (만 7세~9세)
① 로웬펠드의 이론 : 도식기
사물에 대한 개념이 어느 정도 형성되어 있고 사물에 대한 관념이 학교 하여 사물들을 인지한 형태로 그리는 시기를 말합니다.
독창적인 판단이나 경험, 상상을 표현하려는 시도를 하며 개인의 생각에 대한 이해가 싹트는 시기입니다. 이때 공간 개념을 수 비게 인지하여 땅이나 건물, 하늘을 뚜렷이 구분하며, 보고 느낀 주변 자연의 색채를 비교적 잘 묘사합니다. 사람, 집, 나무 들을 위아래 또는 좌우 일렬로 나열하여 그립니다. 길이 두 개 있다면 두 개의 선을 그리되, 수평과 원근의 개념이 없기 때문에 대상을 거꾸로 그리거나, 보이지 않는 물속이나 건물 내부를 투시하여 그립니다. 본인과 주변 환경 사이에 무의식적인 관계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사람을 그릴 때에는 원형, 삼각형 , 사각형 등 기하학적 형태를 주로 사용하며, 얼굴 돠 몸통 사이에 목이나 섬세한 선들은 생략돼 빈다. 팔다리는 젓가락 같이 선으로 표현되나 팔은 주로 밖으로 뻗친 형태로 그려집니다. 또한 주관적 관점에서 그리기 때문에 사람 등의 표현에서 자신이 보고 느낀 감정을 과장되게 반영하는 시기입니다. 손가락처럼 잘 인지하고 있는 부분은 개수대로 세밀하게 다 그리며, 본인이 관심 있어하는 부분은 과장하여 그리거나 강한 색을 칠하고, 중요하지 않은 부분은 생략하거나 축소합니다. 사실을 보고 그리는 것 같지만 형태와 중요한 관점을 파악한 뒤에 개념적인 그림을 그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