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창의 미술교육 _ 좌우뇌 분할 이론 , 우뇌 좌뇌의 역할

by @*ㅔqs! 2022. 3. 13.
반응형

미국의 심리학자 로저 W , 스페리( Roger W, Sperry )는 1981년에 좌우뇌 이론으로 노벨상을 수상 했습니다. 대뇌는 좌뇌 우뇌로 나누어 있는데, 이 뇌들은 각각 반대편에 있는 몸의 지각운동을 담당하며 다른 기능들을 합니다. 좌뇌가 발달한 사람들은 언어 능력이 우수하며 객관적이고 분석적인 생각, 숫자 등에 친근하며 이성적, 논리적이라고 합니다.
반면에 예술을 하는 사람은 감성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우뇌가 이성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좌뇌보다 훨씬 발달되어 있다고 합니다. 우뇌가 발달한 사람들은 감성적이므로 감정표현을 잘하며, 주관적이고 사려 깊으며, 음악이나 그림 또는 색상을 좋아한다거나 내면세계가 풍부하고, 글보다는 이미지에 더 익숙합니다.
그러나 좌-우뇌가 서로 보완 작용을 하는 것은 물론입니다. 최근 심리학 연구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는 수학과 우뇌 , 좌뇌가 함께 작동할 때 더 잘한다고 합니다. 디자이너나 건축가 같은 사람들은 예술 영역에 속해 있으면서도 논리적인 좌뇌를 더 많이 사용합니다. 두뇌는 각자의 영역을 주장하면서도 서로 타협하며 어느 정도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그러므로 아직 뇌의 구조가 완성되지 않은 아이들은 미래의 전공이나 직업과 상관없이 음악이나 미술 등의 예술 활동을 통해 우뇌를 발달시키는 감성적인 훈련을 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그림이나 음악 등 예능을 못한다고 창의성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창의적이라는 것은 사고나 사물 또는 세상을 보는 상태가 다른 사람들보다 감성적 또는 주관성 있게 보는데 더 뛰어난 사람을 말하는 것뿐입니다. 특히 이는 개개인의 능력과 환경, 대상에 따라 차이가 있고 판단의 차이도 있으므로 일율적으로 어느 것이나 우월하거나 열등한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1) 우뇌를 이용한 학습 개발법
창의력을 계발하는 교육에서 지름길이나 공식이 존재하는가? 의학적으로는 훈련에 의하여 죽은 뇌를 활성화시키고 기억력을 증진시키는 뇌 운동 프로그램이 있기는 하다. 그러나 창의력을 증진시켜 주는 단기적인 방법은 아직까지 알려진 바 없다. 창의력이란 긍정적이고 자기 계발적인 올바른 교육프로그램을 학교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체계적이고 반복적으로 경험함으로써 배워지는 것입니다. 창의교육에서 배제해야 할 태도들은 억압하거나 일률적으로 지시하는 것입니다. 자유롭게 사고하지 못하는 것은 사회적, 문화적 습관과도 무관하지 않습니다.

멀린 위트락 Merlin C , Wittrock 은 형태적인 도안에 익숙한 좌뇌와는 달리, 예외는 시작적인 기억에 의하여 사물을 판단하고 그것을 오래 기억한다고 기술했습니다.

구분 우뇌의 역할 좌뇌의 역할
사고 고정관념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사고를 합니다.
즉흥적이고 무규범적입니다.
일반적인 규율 안에서 규범적이고 계획적입니다.
전달기능 시각적이고 경험적입니다.
얼굴을 잘 기억합니다.
대화할때 신체 언어를 사용합니다.
음조적인 자료를 잘 기억합니다.
활동적인 학습에 익숙합니다.
언어적입니다.
대화할때 단어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언어적인 자료를 잘 기억합니다.
언어적 정보로 학습하는데 익숙합니다.
판단력 직관적, 연역적,확산적, 수평적 입니다.
지각작 판단에 의해 문제를 해결합니다.
유머러스한 생각을 합니다.
논리적, 귀납적, 분석적,추상적 ,상징적,수리적 입니다.
체계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 합니다.
감성 감정적, 예술적,주관적,창조적,시공간적입니다.
감정을 잘 표현합니다.
이미지적 기능을 갖습니다.
이성적,인지적,객관적, 사실적,지적 ,현실적입니다.
감정을 억제합니다.
기존의 것을 개선하기를 선호 합니다.
운동 신체의 좌측이 발달해 있습니다.
공간적 운동, 운동기억, 창의적 운동을 잘합니다.
신체의 우측이 발달해 있습니다.
기억을 통한 운동을 언어적으로 표현하는데 능합니다.

<우뇌와 좌뇌의 역할>

(2) 단어와 이미지를 이용한 기억력 실험
사물을 단어로 암기하는 그룹(좌뇌 사용)과 그림으로 암기하는 그룹(우뇌 사용)으로 학생 등을 나누어 기억력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그 결과 그림을 통해 암기한 경우 기억력이 2배 이상 늘어나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단어를 그냥 외우면 잊어버리지만, 그림을 그린 뒤에 그것을 암기하게 했더니 거의 잊어버리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뇌의 기능은 아동 학습에 적용했을 때도 같은 현상이 나타납니다. 언어적인 것과 시각적인 것을 인식하는 뇌의 구조를 연구하면, 다양하고 효율적인 학습 자료를 만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