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67 미술 창의 교육 _ 창의적인 교사 의 교육 원칙 10가지 I 창의적인 교사는 사고가 긍정적이며 아이들을 사랑하고 창조에 대한 열정과 에너지가 있으며 적극적인 성격을 지닙니다. 이들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뿐 아니라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킵니다. 창의적인 교사의 특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자신의 행동과 지식에 믿음이 있고 자신감이 있는 교사(실기, 이론, 자세) 아이들과 함께하는 것을 좋아하는 교사 긍정적이며 융통성이 있고 열린 사고를 가진 교사 새로운 것에 늘 흥미가 있고 배우려는 교사 아이의 감정과 생각을 읽을 줄 아는 교사 유머 감각이 있는 교사 행동으로 실천하는 교사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교사 학급 분위기를 긍정적 에너지로 유도할 수 있는 교사 재료 준비와 수업 준비를 잘하는 교사 옷을 입을 때 핀 하나라도 매번 다르게 꽂아 새로.. 2022. 3. 10. 시각예술 창의 산출 구도 창의 미술 교육을 시행할 때 과제의 목적을 어디에 두고 어떤 관점으로 과제를 풀어야 할 것인지 연구하면서 다음 4가지 항목 (4H) , '이성 , 감성, 유머, 그리고 기술 ' 이 창의 미술교육의 핵심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이들 4개 요소들은 어느 것 이 더 중요하다거나 덜 중요하다고 할 수 없을 정도로 상호 보완적인 중요한 역할들이 있으며, 창의 미술 교육에서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부분입니다. 이성 Head 감성 Heart 유머 Humor 기술 Hand 상징stands for 논리 logic 감성 sensibility 문화 culture 기법 skill 필요한 부분 needs 지식knowledge 순수/ 자유성 경험 experience 시각화 개발 포인트develop 스토리 concept 칠하기 pain.. 2022. 3. 9. 시간 맞추기도 어렵고 바쁜 요즘 아이와 집에서 함께 하는 캠핑 ! 그리고 밤 세상 탐험. 맞벌이 부부들도 많아지고 가족들이 모두 바쁘고 시간 맞추기도 어렵고 아이들과 놀아줄 시간도 턱없이 부족하다면 아이와 집에서 함께 하는 캠핑을 즐겨 보는 건 어떨까요? 그리고 집 주변 공원을 밤에 에 가족 모두 산책하며 별구경을 한다면 아이들에게 또 다른 기억에 페이지로 남지 않을까요?'엄마 아빠랑 텐트 속에서 이야기도 나누도 핫도그도 만들어 먹고 너무너무 재미있었어! 멀리 나가지 않아도 돼, 우리 집에서도 신나게 놀 수 있다는 걸 처음 알았어.' 캠프만큼 아이들이 열광하는 것이 또 있을까요?' 그런데 다섯 살 꼬마가 어디로 캠프를 가지? 하지만 이제 고민 끝 우리 집에서 제일 넓은 마무라 방에 텐트를 쳐보세요! 자 다음 사항만 잘 지킨다면 저 멀리 바깥 숲 속에서 하는 캠프만큼이나 흥미진진한 실내 캠프를.. 2022. 3. 8. 사람의 지능 또는 창의력 측정 방법 사람의 지능 또는 창의력을 어떻게 측정하는가? (1) IQ 지능 측정 방법 정신의학 심리학자 알프레드 비네(Alfred Binet)가 개발한 IQ 테스트는 사람의 기억이나 문제 해결 능력을 측정하여 사람의 지능력을 측정합니다. 비네는 오랫동안 아동의 정신 문제에 대해 연구했는데, 이를 계기로 시몽(T.Simon)과 함께 지적장애아를 구별하기 위한 심리 검사법을 1905년에 최초로 개발하여 발표하였습니다. 이것이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비네 - 시몽 ( Binet-Simon ) 지능 검사법의 시초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단순한 문답식을 요하는 지능 테스트를 수렴적 테스트라고 하고 수렴적 사고는 지식과 논리적 판단과 추론으로 한 가지 답을 구합니다. (2) 길퍼드의 창의성 측정 방법 창의적인 해결 책은 다양.. 2022. 3. 7. 창의 미술 교육 4단계 접근법 , 창의력 과 지능 의 관계 I 창의 미술을 가능하게 하는 4단계 접근법 아동 창의 미술의 목적은 완성이 아니라 과정에 둡니다. 그림을 그리고 만드는 과정에서 문화적, 환경적으로 다양한 아이들 개개의 경험들을 이끌어 내어 다른 과목들과 연계시키는 방식을 통해 자연스럽게 이성적, 감성적 감각의 균형을 잡아 주어야 합니다. 아동 창의 미술의 목표는 기술에 있지 않기 때문에 교사가 한두 가지 틀 안에서만 아이들을 가르친다거나 잘 그리도록 강요해서는 안됩니다. 또한 획일적인 표현과 내용에 치우친다거나 불필요하게 아이들의 그림에 관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어떻게 미술을 창조하는가? 다른 과목, 문화 분야와 연계했는가? 어떻게 평가하고 설명하는가? 어떻게 반응하는가? (1) 교육 목표는 창작과 독창성에 두어야 합니다. (How to .. 2022. 3. 6. 어린이집에 가기 싫어 하는 진짜 이유 , 상황별 대처 요령 5세가 되면 사회성을 길러주기 위해 어린이집에 보내게 됩니다. 하지만 많이 부모님이 어린이집에 가기 싫다는 아이와 한바탕 전쟁을 치르게 됩니다 어떻게 하면 웃는 얼굴로 어린이집에 보낼 수 있을까요? 아이가 어린이집에 가기 싫어하는 진짜 이유 아이가 어린이집에 가기 싫어하는 이유는 어린이집이 싫어서라기 보다 양육자를 떠나는 것이 싫기 때문입니다. 아이는 어린이집에 가서 양육자가 보이지 않는 사이에 자신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을 느낍니다 특히 어릴 때부터 양육자와 생활을 하고 친구와 놀 기회를 갖지 못한 아이라면 양육자와 떨어지는 것을 더욱 두려워합니다. 자립심이나 인내심이 부족해서 양육자 아닌 다른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것을 꺼리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이런 아이들은 대게 독립심이 없고 .. 2022. 3. 5. 외동아이 육아 Tip 외동아이 육아 주의해 볼 점 외동아이를 키우고 있는 양육자라면 점검해 보아야 합니다. 귀하다고 오냐오냐 하면서 물가에 아이를 둔 것처럼 노심초사 아이를 관찰하고 있지는 않은가요? 스스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키우는 것이 외동아이 육아의 굿 포인트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외동아이 육아 Tip 1. 형제나 친구 같은 부모가 되어 줍니다. : 외동아이가 형제 관계에서 익히고 배우는 것들은 어느 정도 이해하게 하기 위해서는 부모가 형제자매 역할까지 해야 합니다. 형제 관계에서 흔히 나타나는 동등한 권리 주장, 요구, 경쟁, 분배 등 수평관계를 경험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과자 한 봉지가 있을 때 무조건 아이에게 주는 것이 아니라 ' 엄마랑 나눠 먹자, 엄마도 먹고 싶어'라고 말해야 합니다. 2. 아이가 스스로 할 수 .. 2022. 3. 4. 창의 미술 교육의 역할 , 구성 1. 창의 미술 교육의 역할 4가지 창의 미술 교육의 역할은 다음의 4가지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창의 미술교육의 첫 번째 역할은 드로잉을 통해서 이성적 사고를 주관하는 좌뇌와 칠하기를 통해 감성을 주관하는 우뇌의 균형을 맞추도록 해주는 것입니다. 이러한 미술 활동을 통해 아이들은 자신의 욕구를 발산하며 인지 발달과 지각 발달을 합니다. 그뿐 아니라 감정적으로나 육체적으로 경직되어 있거나 억압된 아이들을 치료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습니다. 우뇌가 많이 발달한 아이일수록 더 창의적이고 자유롭게 사고하며, 아이들의 순수성과 자유로운 사고는 우뇌를 발달시켜 창의력을 효과적으로 계발하는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창의 미술 교육의 두 번째 역할은 글이나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의사.. 2022. 3. 3.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3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