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람의 지능 또는 창의력 측정 방법

by @*ㅔqs! 2022. 3. 7.
반응형

사람의 지능 또는 창의력을 어떻게 측정하는가?

(1) IQ 지능 측정 방법

정신의학 심리학자 알프레드 비네(Alfred Binet)가 개발한 IQ 테스트는 사람의 기억이나 문제 해결 능력을 측정하여 사람의 지능력을 측정합니다. 비네는 오랫동안 아동의 정신 문제에 대해 연구했는데, 이를 계기로 시몽(T.Simon)과 함께 지적장애아를 구별하기 위한 심리 검사법을 1905년에 최초로 개발하여 발표하였습니다. 이것이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비네 - 시몽 ( Binet-Simon ) 지능 검사법의 시초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단순한 문답식을 요하는 지능 테스트를 수렴적 테스트라고 하고 수렴적 사고는 지식과 논리적 판단과 추론으로 한 가지 답을 구합니다.

(2) 길퍼드의 창의성 측정 방법

창의적인 해결 책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나오기 때문에 문제 해결과 상상력을 검사하는 확산적 사과(divergent thinking ) 테스트를 필요로 합니다. 확산적 사고는 가능한 다양한 해결책을 생각해 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방법을 제시합니다.
길퍼드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테스트를 실행했는데, 창의력을 구성하는 요소로 이를 독창성, 유창성, 융통성, 그리고 정교성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지능 구도라는 창의 측정 개발 표를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3) 길퍼드의 지능 구도 ( Structure of Intellect )

인간의 지능 구도에 대하여 가장 신뢰 할 수 있는 것이 길퍼드의 지능 이론입니다. 길퍼드는 인간의 지능을 오른쪽 도표처럼 내용, 인지활동, 산출 의 3차원 입방체로 설명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를 다시 세분화하여 분류하였습니다. 이것들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180개의 정신 능력 검사표 개발이 가능하나 현재 까지는 12개의 지능 구도 검사표가 개발되었습니다.

① 인지 활동 차원 ( Cognitive Operations )
대상을 인지하고, 기억하고, 분석하고, 평가하는 사람들의 사고방식에 대한 분석의 능력을 말합니다.
- 기억 기록 능력( Memory Recording ) : 기록의 정보를 기억하는 능력 / 기억 보유 능력( Memory retention ) : 저장된 기억을 불러오는 능력
- 인지 능력( Cognition ) : 단위나 어휘 또는 타인의 표현 변화 등 다양한 항목의 정보를 발견, 인식, 이해하는 능력
- 평가 능력( Evaluation ) : 정보의 정확성, 일관성 혹은 유효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
- 수렴적 결과( Convergent producion ) : 수렴적 결과는 질문이나 상황에 대해 단 하나의 답변을 찾는 것입니다. IQ 테스트나 대부분 논리적 문제 해결은 이에 해당합니다.
- 확장적 결과( Divergent productin ) : 문제에 대한 여러 해결책을 생성할 수 있는 창의 능력, 기억을 불러오는 능력 등 특정 기준에 부합하는 많은 양의 정보를 찾을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② 내용영역 차원
사람들이 보고, 듣고, 행동을 유발하는 사고의능력을 말합니다.
- 시각 능력 : 보는것을 통해 실제 정보를 감지하는 능력
- 청각 능력 : 자신의 청각을 통해 정보를 인식하는 능력
- 상징 능력 : 상징 혹은 기호로 인식되는 정보 습득 능력, 예를 들면 문자, 아라비아 숫자, 알파벳 또는 음악과 과학 표기법 등이 있음
- 의미 능력 : 이것은 주로 언어적 의미와 아이디어처럼 추상적 정보들과 관련이 있음
- 행동 능력 : 관찰된 개인의 심리 상태와 행동과 같은 사람들의 행위 인식 정보에 관한 능력, 대니얼 골먼 ( Daniel Goleman ) 은 이 부분을 ' 사회적 지능'이라고 명명함

③ 산출 자원 ( Product Dimension )
사고의 방식인 인지 활동과, 사고의 대상인 내용을 통하여 생성된 정보나 능력을 응용하여 이를 결과로 귀결시키는 능력을 말합니다.

- 지식의 단면 단위 (Units) : 지식의 단일 항목으로서 콘텐츠 영역의 단위를 인식할 수 있는 능력. 이것들은 단어와 같은 상징 단위. 형태와 같은 시각 단위, 얼굴 표정 같은 행동 단위를 포함합니다.
- 유목( Classes ) : 공통 속성을 공유하는 단위를 알맞은 그룹으로 분류하는 능력
- 속성 관계( Relation ) : 쌍들, 집합, 대비점들 사이의 관계를 감지 할 수 있는 능력
- 체계( Systems ) : 서로 다른 두 단위 사이의 조직 및 구조 또는 네트워크 등의 상호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
- 변환( Transformations ) : 정보의 시각적 변화 또는 농담과 익살과 같은 정보의 변화를 이해하는 능력
- 함축( Implications ) : 예측, 추론, 결과 또는 지식의 기대감 등 어떠한 정보가 주어 졌을 때 이를 함축할 수 있는 능력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