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67 드로잉과 사고의 전환_ 드로잉과 창의의 관계 드로잉과 창의의 관계 (1) 드로잉은 생각을 종이에 옮기는 힘입니다. 아이들이 창의적인 생각을 머릿속에 떠올린다고 해도 그것을 구체적으로 종이에 가시화하지 못한다면 이는 상상에만 머물 뿐이며 아이디어라고 볼 수 없습니다. 즉, 관찰이 창의력을 태동시키는 단계라면, 드로잉은 창의력을 가시화시키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아이디어를 종이에 옮기는 것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되새기는 동시에 상대방을 이해시키는 적극적인 표현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동미술에서 드로잉은 모든 창작 활동의 시발점이며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일차적 창작 행위입니다. 그런데 고학년의 경우 사진과 똑같이 그리려는 시도가 자주 발견됩니다. 이는 좋은 그림에 대한 편견에서 비롯된 결과입니다. 도 로잉을 잘한다는 말은 기술.. 2022. 3. 14. 창의 미술교육 _ 좌우뇌 분할 이론 , 우뇌 좌뇌의 역할 미국의 심리학자 로저 W , 스페리( Roger W, Sperry )는 1981년에 좌우뇌 이론으로 노벨상을 수상 했습니다. 대뇌는 좌뇌 우뇌로 나누어 있는데, 이 뇌들은 각각 반대편에 있는 몸의 지각운동을 담당하며 다른 기능들을 합니다. 좌뇌가 발달한 사람들은 언어 능력이 우수하며 객관적이고 분석적인 생각, 숫자 등에 친근하며 이성적, 논리적이라고 합니다. 반면에 예술을 하는 사람은 감성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우뇌가 이성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좌뇌보다 훨씬 발달되어 있다고 합니다. 우뇌가 발달한 사람들은 감성적이므로 감정표현을 잘하며, 주관적이고 사려 깊으며, 음악이나 그림 또는 색상을 좋아한다거나 내면세계가 풍부하고, 글보다는 이미지에 더 익숙합니다. 그러나 좌-우뇌가 서로 보완 작용을 하는 것은 물론입.. 2022. 3. 13. 창의미술의 첫걸음 _ 다중 지능 이론 하버드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인 하워드 가드너( Howard Gardner )가 1983년 저술한 ' 정신의 구조 : 다중지능 이론 ' 은 어린아이들의 다양한 관점에서 찾아내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중요한 지침서입니다. 다중지능 이론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여러 가지 다중지능 이론을 접합시켜 학생들의 강점을 계발할 수 있는 학습 계획을 다양하고 폭넓게 만들 수 있습니다. 두 번째, 학생들이 관심 있어하는 분야의 주제가 크게 늘어납니다. 세 번째, 학생 개인이 가지고 있는 남과 다른 재능을 찾아내어 계발시켜 줄 수 있습니다.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은 아이들의 지능을 다음과 같이 8가지로 나눕니다. ① 음악적 지능( Musical intelligence ) : 리.. 2022. 3. 12. 미술 창의 교육 _ 창의 적인 교사 원칙 10가지 II (5) 눈과 손으로 그리게 하라. 고학년 어린이들이 사물을 그릴 경우 대개는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합니다. 하나는 생각으로 그리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보고 그리는 것입니다. 사물을 보고 그리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때 아이들로 하여금 눈으로 자세히 관찰하고 본 것을 그대로 손으로 그리게 해야 합니다. 아이들의 관찰은 주관적이기 때문에 보고 그리는 습관은 창의 미술 교육에서 중요합니다. 한 번 슬쩍 대상을 보고 머리에 찍어 놓은 기억으로 그림을 그리는 것이 습관이 되면, 아이는 관찰력이 부족해지고 대충 그리는 나쁜 습관을 기르게 되며, 항상 똑같은 그림을 그리게 되거나 인내심 없는 가벼운 정서로 발전하게 됩니다. (6) 지우개의 사용을 제한하라. 아이들에게 지도할 때 지우개의 사용을 최소화시키.. 2022. 3. 11.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 6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