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67

관찰과 창의력의 관계 , 관찰력을 신장시키는 패턴 드로잉 방법 1. 관찰과 창의력의 관계 (1) 찾아내기 : 남들과 다르게 발견하는 힘 관찰은 사물을 분석하는 첫 번째 과정입니다. 사물을 주의 깊게 탐구하여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찾아내는 시선이나 습관을 가진 아이가 있다면 , 그 아이는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사람 일아 말할 수 있습니다. 관찰할 때 아이들의 관점은 어른들보다 훨씬 순수하고 주관적입니다. 아이들은 어른들이 놓치기 쉬운 세밀한 것을 찾아내는 것을 좋아합니다. 특히 아이들은 꽃이나 동물, 바다 조개 등 자연적인 소재를 좋아하며 이것들에 대해 세심한 관심을 가지고 이야기를 만들어 냅니다. 이뿐 아니라 때로는 보이지 않는 내부의 구조나 반대 방향의 형태까지도 그림에 표현합니다. 이러한 방식에 익숙한 아이들은 수학이나 과학에서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문.. 2022. 3. 18.
미술교육의 이해와 실제 프로그램 (1) 레니 샌들 ( Renee Sandell )의 이론 - 미술의 3요소란? ① 형태 form ( 그림의 실제 ) ② 주제 theme ( 그림의 주제 ) ③ 배경 context ( 그림을 만든 배경 ) -좋은 미술 교육이란? ① 균형 있는 교육 ( 기술적 관점과 창의적 관점에서) ② 다른 과목과의 연계교육 ③ 의미 있는 교육 ( 과제가 교육적이거나 커리큘럼에 기여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 미술 평가 기준표를 만들 때 교사가 지켜 주어야 할 주의 사항 ① 평가 기 주뇨의 중요성을 충분히 숙지하여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② 과제의 주제와 관련된 것이어야 합니다. ③ 주제와 과제가 나이에 적합해야 하고 공정하고 윤리적이어야 합니다. (2) 뉴욕 주의 미술 교육 프로그램 및 평가 방법(초등학교 3~4학년).. 2022. 3. 17.
로웬펠드의 이론과 아동화의 발달 단계 II (4) 사실주의가 나타나는 시기 The Dawning Realing (만 9~12세) ① 로웬 펠드의 이론 : 또래 집 단기 사회생활에 적응하면서 사물을 객관적으로 보며 형태를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시기입니다. 같은 성의 또래 친구들과 어울리는 시기로 한 사람보다는 여러 사람들을 그룹으로 그리며 사실적인 그림을 그리려 합니다. 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시작하는 시기로, 공간, 질감, 비례, 크기 등에 대하여 어느 정도 인지하고 구도를 이해하는 시기입니다. 사물을 겹쳐 그린다거나 공간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가족이나 집, 나무, 동물 등 주변 소재들을 중심으로 그림을 그리며, 사람의 얼굴도 세부적으로 표현합니다. 색상도 주관적인 것에 서 벗어나 실제 대상에서 보이는 색을 만들어 사용하게 됩니다. 그러나 실.. 2022. 3. 16.
로웬펠드의 이론과 아동화의 발달 단계 I 이론가 소개 빅터 로웬펠드 Viktor Lowenfeld, 1903 ~1960 심리학자이자 화가, 저술가로, 현대 미술교육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미술 교육학자입니다. 1903년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난 그는 어려서부터 악기 연주와 그림 그리기를 좋아했는데, 이는 그가 교육 분야와 시각 예술, 공연 예술을 좋아하고 연구하게 된 동기가 되었습니다. 빈에서 미술 아카데미를 졸업한 뒤에 초등학교 교사와 시각장애인 학교에서 미술과 책임자로 일하다가 1938년 나치 반 유대 정책으로 35세에 미국으로 이주했습니다. 1939년 버지니아 햄프턴 대학교의 조교를 거쳐 1946년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에서 미술교육학 정교수로 일하며 아동 미술교육 분야에서 주요 업적을 남겼습니다. 아동화 발달 단계는 아이들의 개인적인 성격,.. 2022. 3.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