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67

아이 건강을 위한 친환경 세제 I - 베이킹소다 아이가 물고 빨고 하는 식기와 장난감, 옷가지, 천으로 만든 인형들이 염려되는 양육자로선 친환경 세제에 관심을 가질수 밖에 없습니다. 주로 계면활성제와 염소계표백제, 형광증백제, 방부제들이 아이에게서 조금 멀게 하고 싶은 것들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 4가지를 첨가 하지 않는 친환경 세제들이 많이 나와있는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성분을 제외했다고 하더라도 화학성분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닙니다. 100% 천연성분에서 추출했고 화학첨가물 0% , 화학잔여물0%제품을 선호하는 세상이 왔습니다.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을 위해 침구, 장난감, 책등에 친환경 세제를 사용 하는것은 필수입니다. 뭐든 입으로 먼저 가져가는 월령의 아이가 있는 경우라면 책, 장난감, 침구등은 모두 관리 대상 1호, .. 2022. 1. 21.
13~24 개월에 맞는 추천 놀잇감 , 장난감 관리방법 아이를 키우다 보니 세상에는 안 되는 일이 많다는 걸 알게 됩니다. 높은 곳에 올라가도 안되고, 날카로운 것을 만져도 안되고, 큰소리를 내서도 안됩니다. 우유만 먹어서도 안되고, 늦게 까지 잠을 자서도 안됩니다. 그런데 아이는 끊임없이 '하겠다'라고 말합니다. 자기가 한번 해보겠다고, 어떤 세상인지 한번 직접 경험하겠다고 합니다. 그런 아이를 막으려면 엄마는 '안돼' , 하지 마' ' 그만'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습니다. 아이는 엄마의 그런 말을 들척도 하지 않고 ' 마이웨이'를 간다고 합니다. 이런 줄다리기를 하다 보면 어느덧 험악한 얼굴로 아이에게 무서운 사람이 되어버린 엄마 자신을 봅니다 정말 나쁜 엄마가 되고 싶지는 않았는데, 어쩌다가 이렇게 되어 버렸을까요? 한번 바꿔 봅시다. 하지 말라고 말하는.. 2022. 1. 20.
인지발달 놀이 방법 (모방놀이 10가지 , 두뇌자극놀이 6가지) 놀이가 아이 발달에 큰 도움을 주는것은 분명하지만 그것도 아이 수준에 맞아야 재미도 있고 , 효과도 있습니다. 이제 막 두살 된아이에게 100조각 퍼즐을 갖다 주고 놀라고 해보아도 아이는 전혀 흥미를 느끼지 못합니다. 아이 인지 수준에 딱맞는 놀이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지 발달에 도움이 되는 놀이방법 I 모방놀이 이 시기 아이들의 두뇌는 모방을 통해 발달 합니다. 아이가 창의적으로 행동하지 못한다고 걱정하지 마시고 다양한 놀이를 통해 아이를' 따라쟁이' 로 만들어 봅시다. 1. 표정놀이 : 표정만큼 따라하기 쉬운것은 없습니다. 아이와 마주앉아 우는표정, 화난표정,찡그린 표정 등을 지어봅니다. 또 아이의 표정을을 엄마가 따라 해봅니다. 아이는 금방 깔깔거리며 웃을 것이다. 표정놀이는 관찰력과 얼룩 .. 2022. 1. 19.
인지발달 을 위해 양육자가 꼭 해야 할 일 요즘 아이를 친구나 백화점에 데리고 가려면 아주 큰 마음을 먹어야 합니다. 풀어놓자마자 다른 사람 눈치를 보지 않고 무작정 새로운 물건을 만져보려 하는 아이 때문입니다. 한 장난 감당 10분 정도 가지고 놀면 다시 쳐다보지 않기 때문에 사주는 일도 난감합니다. 그래서 아이 뒤를 쫓아다니며 장난감을 다시 정리하느라 쇼핑도 못하고 친구와 이야기도 못 나눕니다. 요즘은 참다 참다 간혹' 가만히 있어'라고 혼내기도 합니다. 그럼 말귀를 잘 알아듣고 엄마 눈 치르 봅니다. 아이는 대체 왜 그렇게 새로운 것을 좋아하는 걸까? 결론적으로 말해, 아이가 새로운 것을 좋아하는 것은 두뇌발달이 아주 잘 진행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부모 들은 아이들이 모두 머리가 좋기를 바랍니다. 머리가 좋다는 것은 두 가지 의미가 있습니.. 2022. 1. 18.
아기 수면 교육 ( 잘자는 아이 , 수면 교육 시기 ) 왜 아이는 잠을 안 자려고 할까요? 18개월이 지나면 아이들은 그전까지 낮잠을 두 번 자다가 한 번 자게 됩니다. 통계상으로도 12개월 된 아이는 80%가 낮잠을 두 번 자고 , 21개월 된 아이는 90% 한번 낮잠을 잡니다. 이렇게 낮잠 시간은 줄어드는데, 오히려 밤잠은 그전보다 더 안 자고 설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선 이 시기의 아이들은 상당히 활동적이고 지적 호기심이 많아 이것저것 집안일도 참견하고 싶어 합니다. 또한 엄마가 하는 일에' 안돼', '안돼'하면서 자기 고집을 내세우는 것처럼 보여도 마음 한구석에는 엄마에게 매달리고 싶고 떨어지지 않고 싶어 합니다. 따라서 웬만하면 안 자려고 합니다. 잠을 자면 엄마도 없어지고 이 재미있는 세상도 없어질까 봐 두려운 것입니다. 낮에 지나치게 재미있게 .. 2022. 1. 18.
아이 꼭 고쳐야 하는 버릇 3가지 VS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버릇 3가지 돌이 지나면서 점점 자기 마음대로 하려는 아이를 보고 부모는 이제 슬슬 버릇을 들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 시기는 언제로 잡아야 할까요? 소아정신과 의사들은 버릇 들이기는 부모의 필요와 육아관, 그리고 아이의 기질에 따라 달라진다고 말합니다. 우선 아이 버릇을 들이려면 부모가 왜 이 버릇을 고쳐야 하는지 , 왜 문제가 되는지를 정확하게 알게 있어야 합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자기 마음대로 돌아다니기를 원하지만 자신의 행동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모르기 때문에 ' 훈련'으로 바로잡지 않으면 위험에 빠지기 쉽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안전에 위협이 될 정도로 지나치게 나댄다면 그때가 바로 버릇을 들여야 할 시점입니다. I 고쳐야 하는 버릇 1. 물건을 던지는 버릇 : 아이가 던지는 행동을 보일 때는 .. 2022. 1. 17.
아기 배변 훈련 책 ( 훈련 시기 , 배변 훈련 중 금지어 !) 배변훈련을 언제 시작할 것인가는 학자들마다 의경이 다릅니다. 보통 소변을 참을수 있고 말을 잘 알아들을 수 있는 20개월부터 시작하자는 의견이 많지만 15개월부터도 가능하다는 의사도 있습니다. 드물게는 그보다 어릴 때부터 변기에 앉혀서 대소변을 보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소변 가리기 훈련은 생리적으로 방관과 대장을 조절 할수 있는 나이가 되어서야 가능하다고 말합니다. 일정한 시기를 정하기 보다는 아이에게 배변 훈련 준비가 되었다는 신호들이 나타났을 때 시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티셔츠를 입혀줄 때 팔을 들어주는 등 엄마를 돕거나, 간단한 옷은 스스로 벗을 수 있거나, 흉내내기를 잘하거나, 장난감이나 자기가 좋아하는 물건을 바구니나 상자 안에 넣는 것을 좋아하여야 합니다. 또한 간단한 지시를.. 2022. 1. 17.
유치 빠지는 순서 , 유치 관리 원칙 4가지! 유치 나는 순서 돌 지난 우리 아이 치아는 8개뿐인데, 옆집 아이는 20개? 과연 아이들 이는 늦게 나도 괜찮을까요? 돌 이후 치아 발달 순서는 일반적으로 돌 된 아이는 아랫니 4개, 윗니 4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18개월이 되면 위 앞니에서 한 칸 건너 쪽 어금니 2개가 나고, 이어 빠르면 20개월에 송곳니가 나기 시작합니다. 보통 두 돌 반 , 즉 30개월까지, 또는 늦어도 34개월까지 유치 20개가 모두 나게 됩니다. 어금니와 송긋 네가 나게 되면 아이는 다양한 음식물을 자유자재로 씹을 수 있으므로 치아 관리에 더 신경 써야 합니다. 새 이가 날 때 아이들은 짜증을 내거나 보챕니다. 볼이 뜨끈해지고 침 으를 많이 흘리기도 하며 갑자기 이것저것 물기 시작합니다. 아프기 때문입니다. 보통 생후 12~1.. 2022. 1.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