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67 경제학적 사고 Ⅱ 경제학적 사고 Ⅱ ⑦교환은 모두에게 이득이 됩니다. 시장에서의 교환을 통해 모두가 좀 더 풍요로운 경제생활을 누릴 수 있음을 보인 것입니다. 교환에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것은 개인들에 국한된 현상이 아닙니다. 나라와 나라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교환, 즉 국제 무역도 이에 참여하는 모든 나라에게 이득을 가져다줍니다. 물론 모두가 자발적으로 교환에 참여하는 경우에만 그와 같은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어느 한쪽의 강압에 의해 교환이 이루어지는 경우라면 그쪽만 이득을 보고 다른 쪽은 손해를 보는 결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교환은 모두가 자발 저긍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 그렇다면 어느 한쪽이 손해를 보는 일은 결코 일어나지 않습니다. 개인 사이의 교환이든, 나라 사이의 교환이든, .. 2022. 5. 13. 경제학적 사고의 기초 Ⅰ 경제학적 사고의 기초 Ⅰ ① 시장은 효율적이지만 완벽하지 않습니다.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시장 기구가 최선의 수단이라는 사실은 의심치 않습니다. 하지만 시장기구가 다른 측면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도 맞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전반적으로 시장 경제보다 더 나은 체제를 찾 을수 없다는 것이 경제학자들의 믿음이기도 합니다.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 보이지 않는 손에 대한 믿음은 거의 종교에 가까운 수준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모든 것을 시장에 내 맡기는 자유방임 체제하에서는 여러 가지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들이 나타납니다. 독과점 기업이 소비자의 이익을 해치는 행위를 하기도 하고 국방이나 치안 같은 중요한 서비스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경제.. 2022. 5. 13. 경제적 자원 (economic resources) 경제적 자원(economic resources) 이란 우리가 아껴 써야 하는 모든 것을 뜻합니다. 즉 희소하게 주어져 있으며 쓸모 있다고 생각되는 것들을 모두 포함하는 경제적 자원을 생각하면 됩니다. 반대로 좁은 의미에서의 경제적 자원은 노동이나 자본처럼 생산과정에 투입되어 우리가 소비하는 상품으로 변화될 수 있는 생산요소(factors of production)를 뜻합니다. 좁은 의미에서의 자원은 노동, 자본, 토지의 세 가지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노동은 일을 하려는 사람들에 의해 공급되는 서비스를 뜻하며, 자본은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건물, 기계, 설비, 공부 등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가리킵니다. 그리고 토지는 땅뿐 아니라 모든 자연자원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최근에는.. 2022. 5. 12. 경제학의 의미 * 경제학 : 경제학은 인간의 물질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희소한 자원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인간의 욕망은 무한한데 그것을 충족시켜 주는 수단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는 선택의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한 선택이 이루어져야 한 물질적 욕망을 최대한으로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 인간의 경제생활은 선택의 문제와 뗄 수 없는 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선택의 문제로 고심하는 과정이 바로 '경제 하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경제학은 바로 이 선택의 문제를 주요한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말해 경제학은 사회적, 개인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경제적 선택 행위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이들은 .. 2022. 5. 12.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6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