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드로잉5 드로잉의 학습 목표 및 효과 1. 드로잉의 정의 및 기법 (1) 드로잉이란 드로잉의 1차적 의미는 '머리에 떠오르는 아이디어나 생각, 또는 눈에 보이는 대상들을 종이 위에 표현하는 미술 행위'입니다. 드로잉은 르네상스 시대의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드로잉처럼 그 자체로 작품이 되기도 하지만, 여기에 다른 재료를 더하거나 발전시켜 색채화로 나아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드로잉은 칠하기와 구별됩니다. 드로잉은 연필, 크레파스, 파스텔 등과 같은 건성 재료를 사용하거나, 먹물이나 색상을 사용하거나, 먹물이나 색상을 사용하더라도 선 위주로 그린 그림을 말합니다. 외국에서는 대부분의 미술대학에 드로잉 학과가 따로 있을 정도로 드로잉을 모든 조형 예술의 기초이자 예술의 한 부분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교육적 풍토 에는 드로잉이 밑그림.. 2022. 3. 22. 로웬펠드의 이론과 아동화의 발달 단계 II (4) 사실주의가 나타나는 시기 The Dawning Realing (만 9~12세) ① 로웬 펠드의 이론 : 또래 집 단기 사회생활에 적응하면서 사물을 객관적으로 보며 형태를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시기입니다. 같은 성의 또래 친구들과 어울리는 시기로 한 사람보다는 여러 사람들을 그룹으로 그리며 사실적인 그림을 그리려 합니다. 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시작하는 시기로, 공간, 질감, 비례, 크기 등에 대하여 어느 정도 인지하고 구도를 이해하는 시기입니다. 사물을 겹쳐 그린다거나 공간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가족이나 집, 나무, 동물 등 주변 소재들을 중심으로 그림을 그리며, 사람의 얼굴도 세부적으로 표현합니다. 색상도 주관적인 것에 서 벗어나 실제 대상에서 보이는 색을 만들어 사용하게 됩니다. 그러나 실.. 2022. 3. 16. 드로잉과 사고의 전환_ 드로잉과 창의의 관계 드로잉과 창의의 관계 (1) 드로잉은 생각을 종이에 옮기는 힘입니다. 아이들이 창의적인 생각을 머릿속에 떠올린다고 해도 그것을 구체적으로 종이에 가시화하지 못한다면 이는 상상에만 머물 뿐이며 아이디어라고 볼 수 없습니다. 즉, 관찰이 창의력을 태동시키는 단계라면, 드로잉은 창의력을 가시화시키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아이디어를 종이에 옮기는 것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되새기는 동시에 상대방을 이해시키는 적극적인 표현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동미술에서 드로잉은 모든 창작 활동의 시발점이며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일차적 창작 행위입니다. 그런데 고학년의 경우 사진과 똑같이 그리려는 시도가 자주 발견됩니다. 이는 좋은 그림에 대한 편견에서 비롯된 결과입니다. 도 로잉을 잘한다는 말은 기술.. 2022. 3. 14. 시각예술 창의 산출 구도 창의 미술 교육을 시행할 때 과제의 목적을 어디에 두고 어떤 관점으로 과제를 풀어야 할 것인지 연구하면서 다음 4가지 항목 (4H) , '이성 , 감성, 유머, 그리고 기술 ' 이 창의 미술교육의 핵심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이들 4개 요소들은 어느 것 이 더 중요하다거나 덜 중요하다고 할 수 없을 정도로 상호 보완적인 중요한 역할들이 있으며, 창의 미술 교육에서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부분입니다. 이성 Head 감성 Heart 유머 Humor 기술 Hand 상징stands for 논리 logic 감성 sensibility 문화 culture 기법 skill 필요한 부분 needs 지식knowledge 순수/ 자유성 경험 experience 시각화 개발 포인트develop 스토리 concept 칠하기 pain.. 2022. 3. 9.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