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67

남극 활화산 1955년부터 산기슭에 관측 기지가 세워져 에레버스 산을 매일 관측할 수 있게 되었으나 활동은 멈춘 듯하였습니다. 그러나 1973년 에레버스 산 이 다시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산 꼭대기 정상에서는 용암호가 생겨났고 그곳에서 스트롬볼리식 분화가 계속되었습니다. 1984년 산꼭대기 정상 부근 전역에 화산회와 화산탄이 떨어져 큰 폭발이 있었습니다. 용암호는 잠시나마 멈춘 듯했으나 다시 발생하여 20년 이상이나 계속되고 있는 굉장히 발생하기 힘든 화산입니다. 남극에서는 화산 분화를 처음 목격한 살마들은 영국의 제임스 로스 무리였습니다. 1843년 1월 28일 지금의 로스 해를 항해하고 있던 로스가 이끄는 척의 배가 전방의 섬 그림자를 발견하였습니다. 접근해 보니 빙설로 둘러 쌓여 나란히 서 있는 두 개의.. 2022. 6. 1.
지진원 및 화산탐사 지진원 및 화산 탐사 개마고원(평안도와 자강도 지역)의 10~15km 깊이까지 낮은 Vp/ Vs 가 나타났습니다. 이는 높은 전단 계수(강성률)를 갖는 심부층 암석, 고철 질암이나 초고 철질 암, 즉 초 염기성암이 심부 지각으로부터의 올라와 시생대 습곡을 형성함으로써 나타낸 결과로 고려됩니다. 즉 심부층 암석 고철 질암 또는 초고 철질 암이 수직운동으로 침투하여 올라오면서 상부층의 퇴적암(사암)에 접촉하면서 이것이 고온, 고압으로 인해 변성암으로 변화한 규암층으로 간주됩니다. 왜냐하면 규암은 Poisson 비율이 최소이기 때문에 Vp / Vs 비율은 크게 떨어지게 됩니다. 토모그래피는 오늘날 지진 관측 디지털 데이터 의대량 생산과 동시에 컴퓨터 용량의 확장과 계산 속도의 눈부신 발전으로 지진학자들에게는 .. 2022. 5. 31.
인공지진 - 화산구조 인공 지진 화산 구조 탐사로 얻은 많은 화산체에 공통적인 특징은 기반층에서 지진파의 속도가 빠른 영역이 부풀어 올라 있는 점입니다. 기반층 위에 화산체가 놓여 있는 것이므로 화산체 자체의 무게 때문에 바로 밑에 기반층은 우묵하게 내려앉아 있을 것으로 생각했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기반층이 화산체의 가장자리에서 중앙부 쪽으로 부풀어 올라와있었습니다. 이것은 지하에서 상승한 마그마의 압력으로 인하여 기반층 자체가 변형되어 있음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운젠 후겐다케 탐사에서 산꼭대기 서쪽의 깊이 2km 정도에 주위보다 저속도 영역이 존재할 가능성이 지적되었습니다. 고결되지 않은 마그마로 채워진 마그마 방의 지진파 속도는 느리기 때문에 이 저속도 영역의 존재가 확실하다면 마그마 방을 검출한 것이 됩니다.. 2022. 5. 31.
지진과 쓰나미 , 수도권 대지진 수도권의 대지진 - 간토 지진 간토 지진으로 지표에 뚜렷한 단층이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 가나가와 현의 중. 서부와 치바 현 남부에서는 도처에서 땅이 갈라지고 산사태가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간토 지진은 홋카이도 남단과 규수 동단에서도 진동이 감지되었으며, 가나가와현, 도쿄도, 치바 현을 중심으로 강한 진동으로 인한 건물 파괴에 쓰나미와 화재까지 가세하여 더욱 큰 피해를 가져왔습니다. 1923년 9월 1일 수도권 지하에서 일어난 간토 지진은 라고 부릅니다. 간토 대지진 재해는 일본에서 일어난 지진 피해 가운데 가장 많은 사망자를 낳은 지진입니다. 또한 진원에서 가까운 시즈오카 현 아타미에서 12m 파고의 쓰나미가 보고된 것을 비롯하여 보소 반도의 수사키에서는 최대 8.1m , 사가미만 해안에서도 5~7m 파.. 2022. 5.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