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창의력2

관찰과 창의력의 관계 , 관찰력을 신장시키는 패턴 드로잉 방법 1. 관찰과 창의력의 관계 (1) 찾아내기 : 남들과 다르게 발견하는 힘 관찰은 사물을 분석하는 첫 번째 과정입니다. 사물을 주의 깊게 탐구하여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찾아내는 시선이나 습관을 가진 아이가 있다면 , 그 아이는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사람 일아 말할 수 있습니다. 관찰할 때 아이들의 관점은 어른들보다 훨씬 순수하고 주관적입니다. 아이들은 어른들이 놓치기 쉬운 세밀한 것을 찾아내는 것을 좋아합니다. 특히 아이들은 꽃이나 동물, 바다 조개 등 자연적인 소재를 좋아하며 이것들에 대해 세심한 관심을 가지고 이야기를 만들어 냅니다. 이뿐 아니라 때로는 보이지 않는 내부의 구조나 반대 방향의 형태까지도 그림에 표현합니다. 이러한 방식에 익숙한 아이들은 수학이나 과학에서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문.. 2022. 3. 18.
로웬펠드의 이론과 아동화의 발달 단계 II (4) 사실주의가 나타나는 시기 The Dawning Realing (만 9~12세) ① 로웬 펠드의 이론 : 또래 집 단기 사회생활에 적응하면서 사물을 객관적으로 보며 형태를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시기입니다. 같은 성의 또래 친구들과 어울리는 시기로 한 사람보다는 여러 사람들을 그룹으로 그리며 사실적인 그림을 그리려 합니다. 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시작하는 시기로, 공간, 질감, 비례, 크기 등에 대하여 어느 정도 인지하고 구도를 이해하는 시기입니다. 사물을 겹쳐 그린다거나 공간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가족이나 집, 나무, 동물 등 주변 소재들을 중심으로 그림을 그리며, 사람의 얼굴도 세부적으로 표현합니다. 색상도 주관적인 것에 서 벗어나 실제 대상에서 보이는 색을 만들어 사용하게 됩니다. 그러나 실.. 2022. 3.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