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들의 인지적 도식
- 체스나 수를 기억하듯, 이야기는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 비슷한 어려움에 처했을 때 어떻게 대처할지 전략을 세우도록 도와줍니다.
- 내러티브(서사)의 힘 : 문제 해결의 전략
- 모든 문화에 내재된 보편적 도덕률 <스토리 텔링 애니멀>에서 이야기는 인류라는 종으로서 성공하는데 가장 결정적이었고, 지금도 그런 도전을 미리 훈련해보도록 도와줍니다.
쌍 방향의 북 연구
- 텍스트와 상호작용 하면서 이야기 전체 서사를 바꿀 수도 있는 ThinkRBook을 통해서 어휘력 증진을 시도할 수 있으나 부모 대신은 아님을 참고해야 합니다.
- 아드리아나 부스, 인터랙티브 북이 아이의 어휘력과 이해력에 부정적 영향을 줍니다. 하지만 부모가 적극적으로 아이의 어휘 학습을 지원하면 긍정적일 수 있습니다.
미국의 아이들의 독서 수준
- 4학년, 읽는 법을 배우는 단계에서 읽기를 사고와 학습에 활용하는 법을 배우는 단계로 넘어가는 마지막 단계입니다.
- 6세부터 5학년까지는 2000일 정도 됩니다. 미국 초등학교 4학년 3분의 2 정도의 아이들이 읽기 능력에 능숙한 수준이 되지 못한 다고 합니다.
- 4학년의 읽기 수준과 학교 중퇴자 사이에 상관성이 있다는 연구들이 많이 있습니다. 아이들의 개별 읽기 상황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 많은 교정국 3~4학년생 읽기 능력 통계를 토대로 장래에 필요한 교도소의 침상수를 예측할 수 있수 있다고 합니다.
여름방학 도전! 초등 문해력 , 집에서 키우기 I !
얼마 전 ' 가정에서 키우는 문해력 ' 강의를 들었습니다. 아무래도 코로나 시대에 집에서 있는 시간이 많기도 하고 여름방학이 시작되기도 해서 집에서 초등 문해력 키우기를 도전해 보기로 했
1311.lion-may.com
초등 독서 문해력 집에서 키우기 II
<위기에 처한 깊이 읽기> : 읽기란 고유한 본질이 고독 속에서 일어나는 소통의 비옥한 기적에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지혜가 떠나 는 곳에서 우리의 저자의 지혜가 떠나는 곳에서 우리의
1311.lion-may.com
균형 잡힌 독서 접근법
i) 총체적 언어 접근법
: 명시적 지도가 아닌 스스로 추론하고 파악하게 하는 것, 아이의 상상에 맡기는 방법
-발음 중심 접근법을 가르치는 교사를 호기심을 죽이는 교육이라고 낙인찍고 덜 진보적이라고 비난
ii) 발음 중심 접근법
:음소와 글자의 기초, 단어 해독 교육
<초등 3학년, 4학년> - 유창한 읽기를 위한 노력 해야 합니다.
정교한 독해 과정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단어 해독에서 깊이 읽기 과정으로 건너가게 도와주어야 합니다.
도덕적 상상력으로 연결시키기를 가르치기.
4학년 이후 고학년 아이들을 위해 교사들은 읽기가 기초가 없는 아이들을 가르치는 법을 훈련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지금과 같은 미디어 생태계의 성장과 소비형태, 사회 경제적 불균형이 지속된다면 텍스트를 지긋이 읽어내는 능력이 소수 엘리트의 전유물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긴 텍스트를 읽어 내는 능력의 중요성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입니다. 과학과 테크놀로지, 학문과 비평의 언어가 이미지나 영상으로 쉽게 바뀌진 않을 것이니 말입니다.
방치된 아이들은 웹을 떠돌며 시간을 하염없이 돌아다닐 수밖에 없습니다.
긍정적인 독서환경
- 가족들이 규칙적으로 읽고 쓰는 활동을 합니다.
- 부모와의 질적인 상화 작용이 필요합니다.
- 흥미로운 읽기 자료를 제공합니다.
- 문화적 배경, 사회경제적 지위보다 부모와 자녀 간 책을 통한 의사소통이 더욱 중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