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살 효과적인 수학 놀이

by @*ㅔqs! 2022. 1. 31.
반응형

4살 이 시기의 아이들에게 수학교육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려면 보고 듣고 만지는 등의 오감 자극에 의한 교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습니다. 수학은 아이가 어느 정도 자라야 할 수 있다는 생각에 이 시기에는 자칫 소홀히 다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수학 교육은 숫자 교육이기보다 창의적인 사고력을 키워주는 또 다른 자극이므로 4살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1. 크기 비교부터 시작합니다.
: 4살 아이들에게 엄마와의 관계는 매우 중요합니다. 항상 같이 지내며 애착 관계가 공고해지며 정서적으로 안정될 수록 아이의 학습 효과는 높아집니다. 엄마와 아이중 누가 더 큰지 비교해 보고 , 그림자에 비친 모습을 보고 누가 더 큰지 확인하는 등 크기 비교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크기 비교는 측정 영역에 해당하는데 이를 시작으로 무겁다 / 가볍다 , 길다/ 짧다, 많다/ 적다 라는 기초적인 비교를 측정하고 표현하는 놀이를 자주 해주도록 합니다.
2. 용어보다 쓰임새를 알게 합니다.
: 이 시기 아이들은 말을 배우는 시기이기 때문에 수학적 용어도 언어를 배우듯 줄줄 따라 하게 됩니다. 그러나 수학을 배울때는 언어 교육과는 달리 단순히 이름을 익히는 것에 머물러서는 안 됩니다. 예를 들어 동그라미를 가르쳐 줄 때는 ' 동그라미'라는 용어보다 동그라미가 데굴데굴 잘 굴러가는 원리를 알려주거나 , 동그라미의 쓰임새 등을 이해할 수 있게 대화를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3. 숫자에 매달리지 않습니다.
: 36개월 이전 아이에게 수학이란 학문이기 보다 세상을 새롭게 볼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힘이 빈다. 과자가 쌓여 있는 것을 볼 때 '몇 개나 있지?'라는 질문보다 과자를 양쪽으로 나누어 놓고 ' 어느 것이 더 많지?'라고 질문하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숫자에 대한 질문보다 사물의 앞과 뒤 여러 모양의 도형이 그려진 장난감으로 함께 놀면서 모양의 차이를 느끼게 하는 등의 놀이가 더 좋습니다.
4. 직접, 구체적으로 느낄수 있게 알려줍니다.
: 어린아이들은 숫자를 셀때 손가락을 하나하나 꼽으며 읊조릴 때가 많습니다. 이처럼 추상적인 연상이 힘든 나이에는 구체적으로 눈에 보여주며 자세히 설명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양의 비교나 사물의 구조 등을 말로 설명할 것이 아니라 앞뒤를 설명할 대도 물건의 앞과 뒤를 보여주고 안과 밖을 설명할 때도 상자를 준비해 아이에게 직접 눈으로 볼 수 있게 합니다.
5. 놀이를 통해 스킨십 수학 교육을 시킵니다.
: 아이에게 숫자만 가르쳐서는 안됩니다. 수학을 즐겁고 재미있는 것으로 배우고 싶은 것으로 느끼게 하는 것이 이 시기 수학 교육의 포인트, 그러므로 가장 좋은 놀이를 활용하도록 합니다. 아이와 손잡고 길을 거닐며 몇 걸음을 걸었는지도 세어보는 것도 좋고, 아이와 몇 번씩 손뼉 치며 노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에게 비행기를 태워 주며 몇 번 올려 줬는지 함께 세어 보는 것도 좋습니다.
6. 수학 재능이 있는 아이들에게는 다양한 장난감을 준비해 줍니다.
: 사물의 색이나 모양의 공통점을 잘찾아 내고 사물의 하나하나 가리키며 ' 하나' 둘' 셋'이라고 세기를 좋아하는 아이들은 수학에 관심이 높습니다. 이런 아이들에게는 주변 환경과 사물에 대해 생각하는 다양한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다양한 교구나 장난감을 준비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나 공보다는 소근육을 발달시키면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블록이나 망치 구성 놀이 , 간단한 입체 퍼즐, 스탬프 놀이 등을 해봅니다.

< 4살 효과적인 수학놀이 >

I 퍼즐 놀이
: 다양한 모양의 퍼즐 조각을 맞춰 봅니다. 퍼즐 놀이를 하면서 부분과 전체를 인식할수 있게 합니다. 부분, 전체, 공간, 위치를 익힐 수 있는 놀이입니다.
I 용도에 맞춰 물건 분류 하기
: 그림카드나 여러가지 물건을 모아놓고 아이가 용도에 따라 분류할 수 있게 합니다. 분류와 집합에 대한 개념을 인식시켜줄 수 있습니다.
I 키재기
: 아이의 키를 재고 몇 cm인지 알려줍니다. 모든 사물은 기준을 가지고 측정한다는 것을 알려주고 몸무게를 재본후 몇 kg인지 알려주는 것도 좋습니다. 생활 속에서 그램, 킬로그램, 미터, 킬로미터 등 츨정과 관련된 수학적 어휘를 자주 들려줍니다. 차를 타고 갈 때도 목적지 까는 몇 km라고 알려주어 측정에 대한 개념을 익힐 수 있게 도와줍니다.
I 가게에서 물건 구입하기
: 집에서 미리 아이가 필요한 물건 중 살것을 정합니다. 아이와 함께 가게에 가서 자신이 필요한 물건을 고르게 한 후 직접 돈을 내게 합니다. 거스름돈도 아이가 직접 받게 합니다. 아이에게 비교, 단위와 화폐 개념을 익혀 줄 수 있습니다.
I 식탁 차리기
: 저녁상을 차릴때나 식사 준비를 할 때 아이가 숟가락 , 젓가락을 놓게 합니다 숟가락, 젓가락을 놓으며 아이는 사물의 규칙성과 패턴에 대해 익히게 됩니다.
I 공놀이
: 공던지기를 하며 횟수를 세게 하고 매번 숫자를 조금씩 늘려 나갑니다. 공놀이 외에도 아이와 주고받을 수 있는 놀이를 할 때는 횟수를 세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숫자 세기, 계산능력 등을 읽힐 수 있습니다.
I 양말 크기 재보기
: 가족들의 양말을 하나씩 꺼내 발끝을 맞추어 길이를 비교 할 수 있게 바닥에 놓습니다. ' 이건 아빠 양말, 이건 엄마 양말, 이건 **양말" 양말을 마주 대어 길이를 비교해 보고 자신을 발에 대보며 크기의 비교를 하게 됩니다. 놀이가 끝나면 양말의 짝을 찾아 함께 개어 넣습니다. 아이에게 길이와 함께 크기를 측정하는 능력을 키워 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