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초등 3학년 독서 키워드
5월 가정의 달에 3학년 1학기 과학 2단원에서는 동물의 한살이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그 안에서 동물의 암수 구별 방법 그리고 새끼를 돌보는 과정에서 암수의 역할에 대해서 배우고 있습니다. 1호가 계속 얘기를 해줘서 새로운 사실을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주 독서 키워드는 아무래도 과학과 사회에서 키워드를 찾게 됩니다. 한번 더 생각을 끌어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과학이나 사회에 등장했던 단어나 그림에 키워드를 맞춰 봤습니다.
과학 1단 원일 때보다. 이해력이나 집중도가 더 높아진 2단원을 맞이 했습니다. 좋아하는 동물 이야기여서 인지. EBS랑 독서 키워드 밀착 방법 때문인지는 확인할 수없지만 아무래도 2가지 다 좋은 타이밍이 아니었나 생각해봅니다.
3학년 1학기 사회 2단원 - 우리 고장의 옛이야기에 대해서 배워 가는 중입니다. 그래서 지난주엔 죽미령 평화공원과 고인돌 공원에 들러서 많은 이야기를 더 나누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3학년 1학기 과학
- 2단원 : 동물의 한살이
I 동물의 암수 구별 I
①암수가 쉽게 구별되는 동물 : 사자, 사슴, 원앙, 꿩 등.
②사자는 수컷에만 머리에 갈기가 있고, 사슴은 수컷에만 머리에 뿔이 있음, 원앙과 꿩은 수컷의 깃털 색깔이 화려합니다.
③암수가 쉽게 구별되지 않는 동물 : 붕어 , 무당벌레 등.
I 알이나 새끼를 돌보는 과정에서 암수가 하는 역할 I
①암수가 함께 알과 새끼를 돌보는 경우 : 제비, 꾀꼬리, 황제펭귄, 두리미 등.
②암컷 혼자서 새끼를 돌보는 경우 : 곰, 소, 산양 , 바다코끼리 등.
③수컷 혼자서 알을 돌보는 경우 : 가시고기, 물자라, 꺽지, 물장군 등.
④암수 모두 알이나 새끼를 돌보지 않는 경우 :거북, 자라 , 노린재 , 개구리 등
I 암수의 생식 기관이 한 몸에 있는 동물 I
달팽이, 지렁이는 암수의 생식 기관이 한 몸에 있습니다.
하지만 건강하고 좋은 유전자를 가진 자손을 남기기 위해서 다른 달팽이, 지렁이와 짝짓기를 합니다.
< 배추흰나비를 기르면서 한살이 알아보기>
동물의 한살이
①동물이 태어나서 성장하여 자손을 남기는 과정을 동물의 한살이라고 합니다.
②동물의 알이나 새끼가 자라서 어미가 되면 다시 알이나 새끼를 낳습니다.
배추흰나비를 기를 때 필요한 것
① 배추흰나비 애벌레가 먹을 먹이 : 배추, 무, 양배추, 케일 등을 심은 화분
② 사육상자 : 투명한 플라스틱 그릇
③ 방충망 : 알이나 애벌레를 보호해 줍니다.
④ 그 외 필요한 것 : 고무줄, 휴지(물을 뿌려 상자 안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분무기 등
<배추흰나비를 기를 때 주의할 점>
①애벌레가 바닥에 떨어졌을 때는 배춧잎 등을 애벌레 앞에 놓아 스스로 기어오르도록 해야 합니다.
②알이나 애벌레를 옮길 때는 알이나 애벌레가 붙은 잎을 함께 옮기고 손으로 직접 만지지는 않습니다.
(손으로 알이나 애벌레를 직접 만지면 알이나 애벌레가 죽을 수 있습니다. )
③사육 상자 주변에서 모기약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④알이나 애벌레를 손으로 만졌을 때는 비누로 손을 깨끗하게 씻습니다.
* 배추흰나비를 기르지 않고 자연 상태에서 배추흰나비 한살이 관찰 방법
①학교 화단에 케일 밭을 만들어 배추흰나비가 낳은 알을 관찰합니다.
②배추밭이나 유채밭에 2~3일에 한 번씩 찾아가 관찰해 봅니다.
배추흰나비 알의 특징
연한 노란색이며 주름져 있습니다.
크기가 1mm 정도로 작으며 자라지 않습니다.
길쭉한 옥수수 모양입니다.
배추흰나비 번데기의 특징
번데기 상태로 7~10일 정도 있습니다.
여러 개의 마디가 있고 색깔은 주변의 환경과 비슷합니다.
번데기는 움직이지 않고 먹이도 먹지 않습니다.
3학년 1학기 사회 - 2단원 우리 고장의 옛이야기 꼭 짚어보고 지나가야 할 것!
II 우리 고장의 옛이야기 조사하기 II
① '조사 계획 세우기' ->' 조사하기' -> '조사보고서 작성하기 ' 순서로 고장의 옛이야기를 조사합니다.
② 조사 계획을 세울 때 고려할 점 : 조사 주제, 조사 날짜, 조사 장소, 조사방법, 조사 내용 등을 결정합니다.
③ 조사방법 : 누리집 검색하기, 책 찾아보기, 직접 방문하기, 면담하기 등이 있습니다.
④ 조사할 때 할 일 : 조사한 내용 중 중요 내용을 사진, 동영상, 글 등으로 기록합니다.
⑤ 조사 보고서에 들어갈 내용 : 조사 주제, 조사날짜, 조사 장소, 조사 방법, 조사 내용, 느낀 점 등을 기록합니다.
* 우리 고장의 옛이야기를 통해 알 수 있는 내용
①고장에 있었던 중요한 일이나 사람들이 소중하게 생각하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②고장의 자연환경이나 옛사람들의 생활모습을 알 수 있습니다.
II 우리 고장의 옛이야기 소개하기 II
1. 조사한 우리 고장의 옛이야기와 관련된 내용을 다양한 방법으로 소개합니다.
2. 우리 고장의 옛이야기를 소개하는 방법 : 안내 책자 만들기 , 이야기책(그림책) 만들기, 역할극 하기, 구연동화하기, 동영상 보여주기, 노래 가사 바꾸어 부르기 등이 있습니다.
3. 고장의 옛이야기를 소개하면서 우리 고장의 소중하고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마음을 가져봅니다.
이번 주 독서 키워드
: 암수 , 새끼 , 암컷, 수컷 , 갈기, 생식 기관, 포유류, 붕어, 무당벌레 , 강강술래, 정선아리랑, 평화, 나비, 개미,
독서 키워드는 책의 제목뿐만 아니라 책 내용 안에 단어가 등장해서 그 책을 읽을 수 있습니다. 오후 6시~ 7시까지가 키워드 독서시간이고 키워드 독서 시간에는 키워드가 포함된 책만 읽을 수 있습니다.
오후 7시부터 자기 전까지는 자유 독서 시간으로 자유 독서가 가능합니다. (이 시간엔 학습만화 가능합니다.^^) 그런데 학습만화만 읽을 줄 알았는데.. 의외로.. 키워드 독서시간에 읽던 책을 연결해서 읽는 날도 있었던 거 같습니다. 키워드 3개까지는 엄마가 책을 읽어 줍니다. ^^ 3학년인데 아직 엄마가 책 읽어 주는 게 더 재미있나 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