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형제간의 싸움 중재하는 방법, 아이들은 왜 형제간에 티격태격 싸울까요?

by @*ㅔqs! 2022. 2. 28.
반응형

하루가 멀다 하고 형제끼리 싸우는 아이들은 부모 속을 태우기  마련입니다. 특히 2~5세 아이들은 내 것에 대한 소유욕이 강해지는 시기로, 한 치도 양보하지 않으려 하고 그래서 다툼도 잦습니다. 

 

형제간에 왜 티격태격 싸울까요?

아이들끼리 사소한 다툼은 아이들에게 정상적인 성장 과정입니다. 형제는 경쟁과 다툼을 통해 자신을 방어하고 권리를 주장하고 감정을 표현하거나 갈등 해결의 방법을 터득하게 됩니다. 아이들이 싸울 때는 무조건 아이들의 싸움을 말리는 것보다 아이들끼리 해결하도록 개입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내버려 두면 잠시 후에 사이좋게 노는 것이 형제간의 싸움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형제간에 적대감이 너무 강화되거나 굳어진다면 다툼을 잡아야 합니다. 

 

부모는 언제 개입해야 할까요?

아이들 싸움은 부모가 심판원으로 개입해야 할 때와 옆에 서서 지켜봐야 할 때를 잘 판단해야 합니다. 때로 내버려 두거나 싸우면 안 된다고 일깨워  주는 것 만으로 충분합니다. 아이들 싸움은 확실한 원인도 없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고 엄마가 어느 편을 들어주는 것은 바람직한 중재가 아닙니다. 흔히 부모는 싸움의 원인을 붇고 누가 먼저 시비를 걸거나 때렸는가를 질문한 뒤 한쪽을 싸움의 원인 제공자로 몰아가기도 합니다. 그리고 '형이니까 참아야 지' 누나니까 먼저 사과해'라고 큰애를 꾸짖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는 형으로 하여금 동생에 대한 악감정만 부추길 뿐 싸움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형제간의 싸움 중재하는 방법

부모가 보기에 한 아이가 다른 아이를 의도적으로 다치게 한다거나 때린다거나 하는 경우에 즉시 싸움을 중단할 것을 요구합니다. 부모는 엉겨 붙어 싸우는 아이를 각자 떼어 놓은 뒤 아이들에게 서로 존중하면서 대화할 수 있는 통로를 열어 주어야 합니다. 두 아이가 조금 진정되면 두 아이의 입장을 다 들어다 봅니다. 아이들은 '졔가 저를 쳤단말이에요' '아니에요' 형이 먼저 절 쳤어요!'라고 서로의 입방에 대해 말할 것입니다. 아이들은 지금 자신의 감정에만 너무 사로 잡혀 있어 다른 사람이 말하는 것은 듣지 않을 것입니다. 이때 부모는 아이들에게 자신의 화와 좌절감을 누그러뜨릴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적 여우를 줍니다. 그다음 부모가 두 아이의 관점을 모두 이해하고 있다는 표정을 지은 후 아이들이 서로의 얘기를 들을 수 있도록 합니다. " 철수야.' 넌 민수가 잘못했다고 느끼고 있지?' 민수야 , 넌 형인 철수가 부당하다고 느끼고 있고?'  엄마가 생각하기에 이 말은 너희 두 사람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말처럼 들리는구나. 나는 너희들이 문제를 해결하고 친구처럼 방에서 나오기를 바란단다' 하고 방을 나온다면 아이들은 잠시 후에 사이좋은 형제의 모습으로 돌아올 것입니다. 아이들이 싸울 때는 싸움을 자극하는 주요 원인, 형제간의 질투심이나 나쁜 감정은 없는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또 형제끼리 싸우는 것은 옳지 않다고 분명히 밝혀 두고 무슨 일 있어도 폭력은 용서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실히 해야 합니다. 그래도 아이들이 계속 싸운다면 ' 너희 들이 오늘 하루 동안 싸우지 않고 사이좋게 지낸다면 놀랄 만한 선물을 줄 거야. 그렇지만 싸우는 소리가 들리면 누가 먼저 싸움을 걸었건 간에 그 선물은 받을 수 없어.'라고 일종의 보상조건을 마련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형제간의 싸움 예방하는 4가지 방법

1. 각자의 역할을 나눠 줍니다. 

: 아이들 사이에 터울이 있다면 나이 많은 아이에게 더 어린 동생을 돌볼 책임을 부과합니다. 이는 손위 아이에게 동생을 보살펴야 한다는 동기를 보여하고 더 나아가 동생에게는 손위 형제를 인정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손위 아이에게 동생을 보호해야 하는 막중한 책임이 있음을 가르쳐주고, 동생은 올바른 행동을 보고 배울 수 있도록 지도합니다. 이때 부모는 큰아이가 잘 해낼 수 있도록 지켜보아야 합니다. 만일 아이들이 애착관계를 맺지 못했다면 동생을 못살게 굴고 위협할 수 도 있기 때문입니다.

 

2. 형제간에 선생님 역할을 수행하도록 시도합니다. 

: '너는 3년 동안 야구를 해왔어' 동생에게 야구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겠니?'라고 양육자가 요구해 봅니다. '영희가 장난감을 치우는 것을 도와주겠니? 그래야  너희들의 간식을 만들 수 있단다.'라고 큰아이로 하여금 동생에게 선생님이나 엄마 역할을 대신하도록 해줍니다. 이때 아이들에게 협동을 요구하는 과제를 부과해도 좋습니다. ' 철수야 네가 동생 민수랑 거실의 장난감을 치워주면 간식을 좀 더 빨리 먹을 수 있을 거야'라고 말한다면 아이들은 서로 함께 일해야 한다는 동기를 부여받고 일이 빨리 끝날수 있도록 협조합니다. 

 

3. 형제를 함께 재우도록 합니다. 

: 형제가 나란히 누워 함께 자는 것은 결속력을 강화시킵니다.  밤에 함께 사이좋게 자는 아이들은 주로 낮 동안에도 사이좋게 놀게 마련입니다. 실제로 많은 부모들은 함께 자는 아이들에게서 싸우는 모습을 덜 보게 된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4. 형제가 친구처럼 지내도록 합니다. 

: 아이들이 형제보다 친구들과 더 잘 지낸다는 사실에 주목해봅니다. 친구는 자신이 직접 선택할 수 있고 그렇게 오랫동안 함께 지내지 않으면 부모의 관심을 끌기 위해 경쟁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나이 터울이 많지 않다면 ' 형'이나 ' 누나'를강조하지 말고 함께 노는 친구라는 인식을 심어 주도록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