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칠하기 재료 ( paints ) , 수채화 물감 ( watercolor),에그 템페라egg tempera

by @*ㅔqs! 2022. 3. 31.
반응형

칠하기 재료(paints)

포스터물감, 수채화 물감, 아크릴 물감, 구아슈, 유화 물감, 에그 템페라 등은 칠하기 재료에 속합니다. 이 재료들은 아이들의 감성을 표현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미술 재료는 종류도 많고, 만든 회사에 따라서 특성이나 성질이 약간씩 다릅니다. 그러므로 사용해 보고 가격이 적당하고 사용하기 편한 것들로 구입하여 쓰면서 하나씩 발견해 나가는 게 좋습니다.

 

(1) 유화 물감

유화 물감은 가장 오래되고 전통적인 칠하기 재료입니다. 15세기 얀 반 에이크 에 의해서 발명되었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탈리아 화가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네덜란드 화가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네텔 란드 화가 렘브란트에 의해 그 기법이 완성되었습니다. 이후 19세기 후반의 표현주의 자들에 의해 더욱 널리 활용되었는데 일반적인 재료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유화물감이 아직 그림 재료 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인기가 있는 것은 색감이 풍부하고 다른 기법이나 재료와도 잘 어울리기 때문입니다. 또한 수채화 물감이나 아크릴 물감과 달리, 빨리 마르지 않아 시간이 어느 정도 흘러도 긁어내고 다시 칠할 수 있어 초보자에게 비교적 다루기 쉬운 재료로 인식됩니다. 대개  학생용과 전문가용으로 구분되는데, 학생용은 색소가 적으므로 좋은 질의 그림을 그리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물감은 보통 희석제(린시드유, 테 레반유)를 섞어 사용하는데, 물감 60%, 희석제 40%가 적당합니다. 

  유화물감은 냄새가 나고 관리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물감이 많아 아동화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고등학교 정도가 되면 수업의 목적에 따라 사용하는 학교도 있습니다. 

 

  물감은 처음부터 많이 구입하기보다는 다음 색상 정도만 구입해도 충분합니다. 빨간색이라 해도 여러 종류가 있으므로 영어 명칭을 외워 두는 것이 좋습니다. 

 

-기본적인 유화 색상 : 검은색(아이보리 블랙 ivory black), 흰색(티타늄 화이트 titanium white), 빨간색(알리자린 크림슨 alizarin crimson), 주홍색(인디언 오렌지 레드 indian orange red), 노란색(레몬옐로 lemon yellow), 파란색(코발트블루 cobalt blue), 하늘색(세룰리 언 블루 cerulean blue), 밤색(번트 엄버 burnt umber), 고동색(번트시에나 burnt sienna), 황토색(옐로 오커 yellow ocher)

 

유화 붓의 종류는 다음과 같은데, 각각의 붓은 크기별로 12개씩 있습니다. 

①평붓 flat brush : 끝이 납작한 붓을 말하며, 물감이 많이 묻고 큰 여백이나 날카로운 모서리를 칠하는 데 좋습니다. 

②짧은 평붓 bright brush : 평붓보다 털이 짧고 억센 붓으로, 강한 질감과  붓 터치를 만들며, 두텁게 채색하는데 좋습니다. 

③둥근 붓 round brush : 긴털을 가진 붓으로 끝이 둥급니다. 부드러운 효과를 내며 배경이나 인물 등을 그리는데 좋습니다. 

④필버트 붓 filbert brush : 끝이 약간 둥근 형으로 점 등을 그리는데 적합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은 평붓과 둥근 붓 2가지를 사용합니다. 

 

(2) 수채화 물감 ( watercolor ) 

수채화 물감은 15세기에 네덜란드에서 발명된 미술 재료로, 17세기에는 영국에서, 1850년부터는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했습니다. 미술재료 중에서 이용하기 편리하면서도 다양한 표현이 가능해서 예술가들이 즐겨 사용하는 재료입니다. 수채화란 기본적으로 물을 사용하는 투명한 재료이지만 여기에 백묵과 혼합물을 넣어 응고시키면 불투명한 구아슈가 됩니다. 수채화는 투명할 때 가장 좋은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여러 색을 겹쳐 갖가지 색깔을 창조해 낼 수 있습니다. 칠을 할 때 흰 종이 부분을 남겨 두면 이 부분이 반사되어 빛을 받은 듯한 효과를 나타 냅니다. 유화가 어두운 데에서 밝은 데로 칠해 나가는 반면, 수채화는 밝은데에서 어두운 데로 칠하는 방식입니다. 

수채화는 기본기만 잘 익히면 쉽게 발전할 수 있습니다. 

 

(3) 구아슈 gouacha

일명 디자이너 컬러라고 하는 구아슈는 불투명 수채화 물감입니다. 수채화 물감이 물을 사용하여 농도를 옅게 하는데 비해, 이것은 흰 물감을 섞어 채도를 낮춥니다. 15세기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평면 색깔이 밝고 맑으며 다루기에 간편합니다. 혼색을 하면 채도가 떨어져서 주로 단색을 겹쳐 사용하는데, 유화와 달리 윤기가 없어 차분하고 부드러운 맛이 있습니다. 다만, 젖었을 때보다 말렸을 때 색조가 더 밝아진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구아슈는 어린이 그림용으로 적합하며, 일러스트레이션, 그래픽, 회화 등에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4) 에그 템페라 egg tempera

이 물감은 색소에다 달걀노른자를 섞어 만든 것으로, 유화 물감이 나오기 전인 16세기까지는 주요 재료로 쓰였습니다. 이전에는 화가가 직접 만들어 썼으나 요즈음은 미리 만들어진 물감을 사용합니다. 이것의 장점은 계속해서 덧칠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일반적으로 초록이나 초록기가 있는 밤 색 등의 기초 색을 칠해 놓고 그 위에 큰 붓으로 색을 엷게 칠하거나 입혀 나가는 방법, 또는 크로스 해칭으로 덧칠하거나 나이프 등을 이용해 질감을 쌓는 방법 등 전통적인 기법을 쓰고 있습니다. 아동 미술에 적합한 재료입니다.

 

(5) 아크릴 물감

부착력이 강하여 캔버스나  나무판 등 어느 곳에 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수지 특유의 투명성이 있으면서도 색이 선명하기 때문에  많은 예술가들이 선호합니다. 유화와 마찬가지로 수정할 부분이 있으면 그림 위에 덧칠하면 되는데, 유화 물감과 이것을 함께 쓸 경우에 아크릴 물감을 칠한 후 유화 물감을 칠하는 것은 괜찮으나 유화 물감을 칠한 후 아크릴 물감을 칠하면 벗겨진다는 점에 유념해야 합니다. 또한 물감이 빨리 굳기 때문에 붓을 항상 곧바로 깨끗이 빨아 놓지 않으면 그붓을 쓸 수 없게 됩니다. 팔레트에는 물을 자주 뿌려 마르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아크릴 물감은 이 자체로는 특별한 기법이 없고 유화나 구아슈 또는 수채화를 그리듯이 편리한 대로 용도에 따라 쓰면 됩니다. 

 

(6) 포스터물감

발색이 아름답고 색의 수가 많으며 혼색해도 변색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겹칠 이 가능하고 건조도 비교적 빠릅니다. 넓은 면적에 얼룩 없이 골고루 칠하기에 좋으므로 디자인 용으로 많이 쓰입니다. 물감을 충분히 섞고, 붓질은 한 방향으로만 하며, 덧칠(수정)할 경우에 밑 색이 완전히 마른 뒤에 칠합니다. 

 

(7) 붓

붓은 일반적으로 평붓과 둥근 붓으로 나뉘며 재료는 담비 털 sable이나 황소 털 Ox hair 등을 사용하는데 최근에는 소재의 발달로 합성 모도 많이 쓰고 있습니다. 붓은 털이 가늘고 길어야 좋은 것이며 담비 털이 좋으나 값이 비싼 것이 흠입니다. 크기는 평붓과 둥근 붓으로 구분 없이 20, 14, 12, 10, 8, 6, 4 등의 숫자로 표시되어 있으며 숫자가 클수록 큰 붓입니다. 

  붓은 사용과 보관에 유의해야 합니다. 사용한 뒤에는 항상 깨끗이 세척하여 서늘 한 곳에서 말려 보관해야 하며 붓을 물통에 담가 두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표현 기법에 따라 붓 대신 스펀지나 칫솔 등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들이 쓰기에 좋은 붓은 중간 크기의 둥근 붓입니다. 붓의 단면이 둥글어 붙은 이름으로 한필이라고 합니다. 붓대의 위에서 1/3 지점을 쥐고 손목을 움직여 가며 그림을 그리면 됩니다. 서예 붓은 끝 모양이 가지런하고 탄력이 좋은 것을 골라야 합니다. 

  유화 붓이나 아크릴 붓은 주로 돼지 털을 많이 사용합니다. 유화 붓은 테레빈유 세제에 깨끗이 닦고, 아크릴 붓은 물에 깨끗이 씻은 뒤에 비눗물로 다시 한번 닦아 놓으면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감이 굳으면 리무버로 녹여 사용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