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의력 결핍 과 과잉행동 장애 체크 리스트

by @*ㅔqs! 2022. 2. 12.
반응형
똑똑한 아이로 키우기 위해 ' 가, 나, 다' 'A, B , C'를 가르치고 계신가요? 아니면 조기 교육센터에 보내시나요? 물론 5세라면 학습도 시작해야 할 시기입니다. 하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그건 바로 실컷 뛰어노는 것입니다. 아직은 머리보다는 몸이 더욱 중요합니다. 목욕탕에서 손끝이 쪼글쪼글해질 때까지 실컷 물놀이를 하고, 쫀득쫀득 밀가루 반죽을 하루 종일 조몰락거리고 , 놀이터에서 흙먼지를 뒤집어쓰며 모래 놀이도 하고, 겨울이면, 흩날리는 눈송이 속에서 강아지처럼 뛰어 보고, 여름이면 수박씨 멀리 뱉기 놀이도 하고, 매일 놀기 마나 하면 공부는 언제 하냐고요? 놀면서 하면 됩니다. 목욕탕에서 물놀이하면서 낱말 카드 맞추기를 해도 좋고, 물감으로 목욕탕 타일 벽에 마음껏 그림 그리고 낙서하게 해도 좋습니다. 방안에서는 바닥 와 벽이 지저분해질까 봐 못하게 했지만 욕실은 걱정이 없잖아요. 또 식용색소를 욕조에 풀어 색을 관찰해 보세요, 먼저 욕조 앞쪽에 파란 색소를 떨어 뜨리고 뒤쪽에 노란 색소를 떨어 뜨려 봅니다. 그러면 두 개의 색이 서서히 번져나가는 멋진 볼 수 있습니다. 파란색과 노란색이 합쳐져 초록색이 되는 것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멋진 과학 실험이 어디 또 있을까요? 아이들은 놀면서 자란답니다. 놀이를 통해 몸도 무럭무럭 자라고 머리도 쑥쑥 커진답니다. 자료 - 5세 아이에게 꼭 해줘야 할 60가지-


주의력 결핍과 과잉 행동장애는 유난히 부산하고 산만한 5세 아이라면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 현재 초등학생의 5%, 그중에서도 남학생들의 비율은 3배나 올라간다는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장애는 집중력과 기억력이 떨어져 학습을 방해하는 병입니다. 그러므로 5세 아이가 지나치게 산만하다면 주의력 결핍증을 의심해볼 여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주의력 결핍과 과잉행동장애는 조기에 발견해 적절한 약물 치료과 심리치료를 동반한다면 완치될 수 있는 병입니다. 원스터 처칠, 에디슨도 어린 시절 이병을 앓았지만 위대한 사람으로 성장했습니다.

주의력 결핍과 과잉 행동장애 체크리스크


1. 유치원 수업 및 일을 할 때 부주의로 실수를 많이 합니다.
2. 과제를 할 때나 놀 때 계속 집중하지 못합니다.
3. 남의 말을 귀담아듣지 않습니다.
4. 선생님이나 어른이 시키는 대로 일을 끝내지 못합니다.
5. 과제나 활동을 체계적으로 하지 못합니다.
6. 정신 노력이 요구되는 활동을 싫어하고 기피합니다.
7. 필요한 물건을 잃어버립니다.
8. 외부 자극에 쉽게 산만해집니다.
9. 늘 하던 일을 잊어버립니다.
10. 손발을 계속 움직이거나 몸을 꿈틀거립니다.
11. 가만히 앉아 있어야 할 때 돌아다닙니다.
12. 얌전히 있어야 할 때 뛰거나 기어오릅니다.
13. 조용한 놀이 나 오락에 잘 참여하지 못합니다.
14. 끊임없이 움직이는 것처럼 행동합니다.
15. 말을 너무 많이 합니다.
16. 질문을 끝까지 듣지 않고 대답합니다.
17. 자기 순서를 기다리지 못합니다.
18. 남의 말이나 행동을 방해하고 간섭합니다.


<결과>
1~9에서 6개 이상
10~18에서 6개 이상
등으로 모두 12개 이상의 특성을 보이고 이런 특성이 6개월 이상 지속된다면 전문가와 상담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놀이치료란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언어로 전달하는데 제한이 있는 아이들에게 그들의 언어라 할 수 있는 놀이나 행동을 표현을 통해서 정서, 행동, 발달상의 문제를 치료하는 심리 치료 방법입니다. 아이들은 '놀이'이라는 매개를 통해 불안, 공격성, 좌절감, 내적인 긴장 등을 표출하면서 이런 감정들을 적절하게 조절하거나 해소시켜 이완된 정서,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력, 안정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치료자와의 역동적 관계를 통해 자아 존중감, 환경에 대한 숙련 감, 내적 통제성이 증가되어 보다 적절한 행동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게 됩니다. 놀이 치료는 신경정신과, 아동심리센터, 아동발달센터, 가족연구소, 사회복지관 등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1주일에 1~2회 , 한 시간씩 치료하며 아이 치료가 끝난 후 부모와의 상담을 통해 부모 치료도 함께 행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