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이와 현명한 대화 토론 방법

by @*ㅔqs! 2022. 3. 2.
반응형

부모가 아이와의 대화에서 실패하는 이유는 대부분 아이의 이야기를 잘 듣지 않기 때문입니다. 잘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아이의 사고력이 향상됨을 명심해야 합니다. 또한 들으면서 다음 할 말을 준비하거나 자녀의 말을 평가하거나 충고하려고 하지는 않는지 자신을 살펴보도록 합니다. 

아이와 현명한 대화 토론을 원하시나요?

5세 아이들은 비교적 정확한 문장을 사용해서 자기 생각을 완벽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간혹 성격이 급해 말을 더듬거나 하고 싶은 말은 많은데 제대로 정리가 되지 않아 횡설수설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더라도 아이를 재촉하거나 짜증스러운 듯한 표정을 지어서는 안 됩니다. 대신 아이의 말에 맞장구를 치면서 정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는 아이가 이야기할 때 건성으로 듣거나 말하는 중간에 끼어들지니 않는지 점검해 봅니다. 대화를 나누거나 토론을 할 때는 자유롭게 의견을 말할 수 있도록 해주고 단정 짓는 말보다는 중간중간 질문을 던져 좀 더 구체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해 줍니다. 

 

아이와 효과적인 대화 토론 방법

1. 아이의 말문을 엽니다.

: 굳게 닫힌 아이의 마음과 입을 열기 위해서는 적절한 어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먼저 아이가 좋아할 만한 주제를 사용하는데 ' 네' ' 아니오'로 대답하기 힘든 질문을 합니다. 좀 더  특정한 주제를 선택하는 것도 요령입니다. '오늘 유치원에서 잘 보냈니?'라고 물어보는 대신에 '오늘 가장 재미있었던 일은 무엇이었어?'라고 물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2. 지시하기 전에 아이와 공감대를 형성합니다. 

: 아이에게 지시하기에 앞서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자세를 낮추고 주의를 집중 시키키 위해 눈 맞춤을 합니다. 아이의 말을 들을 때는 똑같은 신체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눈을 맞추는 동안 아이를 노려보게 되면 아이는 그러한 눈 맞춤에서 엄마와 공감을 형성했다고 생각하기보다 자신을 통제한다고 느끼게 됩니다. 

 

3. 짧게 말합니다. 

: 한 문장으로 말합니다. 엄마가 길게 말하면 할수록 아이는 부모의 말을 건성으로 듣게 됩니다. 너무 많은 말을 하면 엄마도 실수하게 되며 엄마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 전적으로 확실한 것이 아니라는 느낌을 갖게 만들 수 있습니다. 

 

4. 단순하게 말합니다. 

: 짧은 문장을 사용합니다. 아이가 어떻게 다른 사람과 대화하는지를 들어 보고 이것을 잘 기억해 둡니다. 엄마의 말을 듣는 동안 아이의 눈빛이 흐려지고 재미없는듯한 표정을 지으면 당신은 더 이상 아이를 이해시킬 수 없습니다. 

 

 

아이가 선택해야 할 때

1. 아이가 거절 할수 없는 제안을 합니다.

: 아이와 힘겨루기를 피하기 위해서는 엄마가 인과관계를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 철수야, 옷을 입으렴, 그래야 밖에 나가 놀 수 있단다." 아이가 싫어하는 제안을 할 때는 거절할 수 없도록 그제 안의 이점을 확실히 설명해 줍니다. 이는 아이가 자신의 생각을 접고 부모의 뜻을 따를 수 있는 근거가 됩니다. 

 

2. 지시할 때는 " 나는 ~해주길 원해"라는 말로 시작합니다. 

: "내려와"라고 말하는 대신에 " 나는 네가 내려오길 원해"라고 말합니다. "철수에게도 할 수 있도록 해줘" 대신에 "나는 네가 철수에게 기회를 주길 원해"라고 말합니다. 이런 어법은 엄마를 기쁘게 해주고 싶지만 한편으로 명령받는 것을 싫어하는 아이에게 효과적입니다. 

 

3. 선택할 수 있도록 " ~ 하면 ~ 해줄게"라고 말합니다.

: " 이를 닦고 나면 이야기해줄게", " 다 마치면 넌 나가 놀 수 있어"" 잠옷을 먼저 입을래, 아니면 이를 먼저 닦을래?"와 같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좋아할 만한 대안을 제시해 " 너 혼자서는 공원에 갈 수 없어. 그러나 옆집 마당에서는 놀아도 된다"라고 말하는 것도 좋습니다. 

 

4. 예의 바른 표현을 씁니다. 

: 아이가 예의범절을 선택사항으로 느끼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아이가 엄마에게 말하기를 원하는 방식으로 엄마도 아이에게 말하도록 합니다. 어린아이에게 "부탁해"라고 한다면 아이가 예의 바르게 행동하는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업그레이드 아이와 현명한 대화 토론 방법

1. 발달 수준을 고려해 질문합니다. 

: 나이가 어린아이일수록 더 짧고 간단하게 말해야만 합니다. 아이의 이해 수준을 고려해야 하는 것입니다. 부모들은 흔히 하는 일반적인 실수는 다섯 살 된 아이에게 "너 왜 그렇게 했니?"라고 묻는 것입니다. 대신에 "네가 무엇을 했는지 한번 말해 보자"라고 질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2. " 너" 화법 대신 " 나" 화법으로 말합니다.

: 협박성이나 판단형 멘트는 아이를 방어적으로 만듭니다. 또한' 너' 메시지는 아이의 입을 닫히게 만듭니다. ' 나' 메시지는 비난조가 아닙니다. "네가 이걸 해주면 더 좋겠다"라거나 "너는 ~만해"라고 말하는 대신 "나는 네가 ~ 해주는 게 더 좋아" " 네가 해주는 정말 기쁜 거야"라고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탁자 좀 치워라" 대신에 " 나는 네가 탁자를 깨끗이 해주면 좋겠어"라고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아이가 크게 소리를 지를수록 더 부드럽게 응대합니다. 

: 대화 중에 적절한 추임새를 넣어서 아이가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도록 합니다. " 응, 난 이해한단다." 혹은 "내가 뭘 도와줄까?"라는 말처럼 때때로 아이의 말을 잘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아이를 진정시킬 수 있습니다. 

4. 아이가 생각을 완성하도록 합니다. 

: " 축구 용품 치우라고 했지?"라고 말하는 대신" 철수야 축구 용품을 어디에 보관해야 할지 생각해 보렴" 하고 말합니다. 아이에게 빈칸을 채우도록 하는 것은 좀 더 오래 지속되는 교훈을 줍니다. 


아이가 화가 났을 때 대처 방법

I 논의를 중지합니다. 

: 만일 어떤 문제에 대해 더는 아이와 상의하라 수 없다면 이렇게 말합니다" 이 문제에 대한 내 생각에는 변함이 없어. 미안해." 그렇게 하면 엄마와 아이 모두가 상처를 입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I 들을 수 있는 마음 자세를 만들어 줍니다. 

: 엄마가 지시를 내기 전에 아이로 하여금 정서적인 평정을 찾게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시간만 낭비할 뿐이 빈다. 아이가 정말 화났을 때는 어떠한 말로도 가라앉힐 수 없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