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아비만 원인, 소아비만 합병증, 소아비만 피하는 8가지

by @*ㅔqs! 2022. 2. 26.
반응형

어린이 비만 치료가 중요한 이유는 지방세포의 크기만 커지는 성인비만과 달리 지방 세포의 숫자가 늘어나 치료가 어렵고 재발이 잘되기 때문입니다. 합병증까지 동반하기 때문에 소아 비만은 그만큼 더 조심해야 합니다. 

소아비만이 성인비만으로 발전할 가능성은 80%에 이르며, 성인병 예비군이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성인비만보다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합병증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정서적 위축도 중요한 문제입니다. 외모에 민감한 요즘 아이들은 5세만 넘어도 '뚱보' , ' 저팔계' 등으로 부르며 뚱뚱한 친구를 놀리게 마련입니다. 실제로 5세 의 소아 비만아들의 우울증으로 심리 상담소 문을 두드리고 있는 현실입니다. 5세라면 아이가  소아비만인지 체크하고 생활습관을 잡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아비만의 원인

 

유전적 요인

: 부모 모두가 비만일 경우 자녀가 비만에 결릴 확률은 80%에 이릅니다. 어머니가 비만일 경우는 60%, 아버지가 비만일 경우는 40% 정도의 확률이 있습니다. 

 

환경적인 요인

: 평소 기름진 육식 위주의 식단과 단 음식을 즐기고 운동보다는 텔레비전 앞에 모여 있는 집이라면 아이도 당연히 비만일 확률이 높습니다. 특히 부모의 생활 습관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5세 아이에게는 환경적 요인이 소아 비만의 주범입니다. 

 

심리적인 요인

: 심리 상태가 불안하거나 사랑의 결립을 느낄 때 음식에 집착하는 경향을 보이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아이는 포만감을 통해 심리적인 안정을 찾습니다. 

 

소아비만이 불러오는 합병증

 

통계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초등학생 10명중 3.5명이 비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이 들 비만아 중 30% 정도가 고혈압, 당뇨병 등의 합병증을 앓고 있습니다. 소아 비만만큼이나 위험한 합병증 네 가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정신장애

: 막 사회성을 갖기 시작한 5세 아이에게 소아비만을 걸림돌이 됩니다. 광고나 미디어에 일찍 노출된 요즘 5세 아이들의 경우 ' 뚱뚱 한 것은 나쁜 것'이라는 잠재의식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비만인 5세 아잉의 경우 또래 친구들에게 여러 가지로 놀림감이 되기도 해 우울증이나 정서 불안에 시달리게 됩니다. 

 

2. 고혈압

: 소아비만이 성인 비만으로 연결될 가능서응ㄴ 70~80% 정도입니다. 따라서  성인 비만에게 나타나는 내분비계 이상이 부신피질의 작용을 자극해 고혈압을 초래할 확률도 높습니다. 

 

3. 고지혈증과 동맥경화

: 소아비만의 경우 혈액에 콜레스테롤이 증가해 혈관의 벽에 붙어 동맥경화가 되기 쉽습니다. 

 

4. 당뇨병

: 췌장에서 분비된 인슐린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 네가지 합병증은 선천적으로 , 유전적으로 타고나는 것을 제외하고 외적 요인으로는 비만으로 인한 것이 가장 많습니다. 과식으로 인한 탄스 화물 과다는 당뇨병을 포화지방 과다는 고지혈증을 거쳐 고혈압으로 나타나며 심각하게는 신부전증, 심장병, 뇌졸중, 실명 등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스스로 의지를 갖고 음식 조절과 운동 요법을 병행할 수 없는 아이들은 견딜 수 없는 스트레스 때문에 우울증을 앓기도 합니다. 소아비만을 가능하면 빨리 치료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소아비만 치료방법

 

식이요법

: 5세는 중요한 성장기이므로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하고 탄수화물이나 지방을 자제하는 쪽으로 식단을 짜야합니다. 하루에 섭취하는 열량을 3회 식사, 2회 간식으로 배분하여 폭식하지 않도록 주의시킵니다. 제철 과일이나 나물, 생선 위주로 먹이되 열량이 같더라도 부티가 큰 음식을 먹이는 것이 아이에게 효과적이 빈다. 성장을 저해하는 다이어트나 약물 요법은 절대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또한 아이에게 삼가라고 요구한 음식물을 부모가 먹는 등의 행동은 금물입니다. 

 

운동요법

: 매일 꾸준히 운동하는 것이 습관이  될 수 있도록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아이가 재미있어하는 운동으로 하루 30분~1시간 정도 규칙적으로 시켜야 합니다. 주로 걷기, 수영, 자전거 타기 등의 유산소 운동이 적합합니다. 

 

 

소아비만을 피하는 8가지 방법

1. 식사시간은 규칙적으로 지켜주세요

: 배고플 때마다 냉장고 문을 열었다면 자제하게 합니다. 식사 시간에만 먹게 하여 배고픈 것도 참을 수 있도록 해줍니다. 

 

2. 식사와 식사시간 사이에 약간의 간식을 준비합니다. 

: 성장해야 하는 나이인 만큼 간식을 억제하는 것은 무리입니다. 인스턴트가 아닌 제철 과일로 약간의 간식만 주도록 합니다. 

 

3. 간식은 감자, 고구마등의 섬유소가 풍부하나 것으로 주고 스낵류는 금하도록 합니다. 

: 과자나 사탕 스낵류는 당분과 기름기가  너무 많아 조금만 먹어도 살이 찝니다. 아이가 우리 먹을거리에 길들여지도록 신경을 써야 합니다. 

 

4. 아이와 함께 식사 계획을 짜도록 합니다. 

: 먹고 싶은것만 보면 달라고 조르는  아이에게 왜 먹으면 안 되는지, 우리 몸에는 어떤 음식이 좋은지  설명해 줍니다. 그 후 아이와 함께 식사 계획을 짜 봅니다. 

 

5. 끼니를 거르지 않도록 합니다. 

: 끼니를 거르면 폭식을 하게 마련입니다. 폭식은 음식에 집착하게 만들고, 비만을 부르게 만듭니다. 

 

6. 최소 15분 이상, 천천히 먹도록 합니다. 

: 음식을 천천히 먹도록 유도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식사시간에 즐거운 대화를 나누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이가 오래 씹을 수 있도록 섬유소가 풍부한 음식을 마련하는 것도 지혜입니다. 

 

7. 간식도 한자리에서 먹습니다. 

: 텔레비전 만화영화를 보면서 간식을 먹지 않도록 합니다. 모르는 사이에 많이 먹게 됩니다. 간식도 식사와 마찬가지로 한지리에서 먹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8. 음식을 상벌로 이용하지 않습니다. 

: '장난감 정리하면 엄마가 초콜릿줄께' 라며 음식을 상벌로 이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음식을 상벌로 이용하면 아이는 모든 것을 먹는 것과 연결시키고 먹는 일에 더욱 매달리게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