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술의 조형 요소

by @*ㅔqs! 2022. 3. 19.
반응형

미술의 조형 요소와 구성 원리

1. 미술의 조형 요소

조형 요소는 평면과 입체, 공간 등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사용하는 요소입니다. 선 line, 형태, 색체, 명암, 질감, 공간, 크기 등이 이에 속합니다. 또한 구성 원리는 각 조형 요소들이 효과적으로 결합, 구성될 수 있도록 조형을 다루는 원리입니다. 분할, 결합, 반복, 리듬, 동세, 비례, 대칭, 대비, 명암, 변화, 통일, 균형, 조화 등이 이에 속합니다. 이 원리 들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표현됩니다.

(1) 선 (드로잉 하기 )

선은 평면 위에 두 점이 연속적으로 확장되어 나간 방향의 형태로, 점의 이동 방식에 따라 직선과 곡선이 생깁니다. 미술에서 선은 배경과 형태를 구분 짓는 중요한 요소로 , 그림의 이미지를 구체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선의 두께와 강약에 따라서 다양한 느낌과 명암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선의 종류는 수평선, 수직선, 사선, 곡선 등이 있고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부드럽고 강한 느낌의 정도가 달라집니다. 특히 외곽선 그리기는 사물의 형태를 그릴 때 그 특징을 포착하여 필요한 부분을 선으로 옮기는 기술로, 관찰력을 공부하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기법입니다.
예를 들어 명암으로 그림을 그릴 때는 대략적으로 그린 뒤에 고쳐 나가면 되지만, 선으로만 그릴 때에는 가능한 한 정확하게 최소한의 선을 사용해 그려야 하기 때문에 집중력과 관 착력이 높아지고 신중하게 표현하는 것이 습관화됩니다. 그러나 그리는 것에 자신이 없는 경우는 가는 선으로 여러 번 그린 뒤에 중요한 부분이나 어두운 부분을 굵게 덧 그려 강조하는 것도 좋습니다.

I 선의 5가지 요소
. 점 dot : 조형의 최소 단위로 모든 형태의 근원이 빈다. 일반적으로 크기를 가지고 있지 않고 위치만 표시하지만 상대적으로 비교해 보면 크기를 말할 수도 있습니다. 예컨대 우리가 사록 있는 지구는 우주 안에서는 점으로 보이지만 가까이 보면 면입니다. 미술적인 관점에서 볼 때 점은 무한한 형상의 시작으로 자연과 조형물에 서 다양한 형태로 표현됩니다.
. 원 circle : 원이 점과 구분되는 것은 형태에 공간이 있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원은 어떤 시점부터 점들이 운동의 방향으로 모여 가다가 시작점에서 다시 만나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것에는 원뿐 아니라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도형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직선 straight line : 점의 이동 방식에 따라 생기는 직선과 곡선은 상반되는 이미지를 갖습니다. 직선은 강하고 예리하며, 방향감에 따라 긴장감, 명 쾌감을 지닙니다. 컴퓨터에 의한 기하학적인 선은 정확하고 기계적이며 도시적인 느낌을 주지만 , 붓이나 연필, 목탄에 의한 직선은 자연스럽고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개성 있게 표현됩니다.
. 곡선 curved line : 유연하며 온화한 느낌을 주는 선입니다. 사물의 형태는 직선이나 곡선에 의해 만들어지며, 곡선은 사물에 역동성과 생명력을 불어넣는 힘을 가졌습니다.
. 사선 Diagonal line : 사선은 경사진 각도의 선을 말하면 사선 세 개가 수평선 위에서 만나면 삼각형이 됩니다. 수평선은 안정, 고요, 문한, 정적인 느낌을 주며, 사선은 동적이고 변화를 만드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소묘에서 명암을 넣기 위해 사용하는 가늘고 짧은 선을 해칭 hatching, 해칭을 여러 번 겹치는 것을 크로스 해칭 cross-hatching이라고 합니다.
선 연습
도 로잉을 잘하려면 연필을 잘 다루어야 하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먼저 선을 연습 히야 합니다. 손목에 일정한 힘을 주어 활 모양의 곡선을 위아래로 그리는 연습을 하면, 눈동자나 동물 등 타원 형태의 사물을 그리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어서 원형 그리기나 수직선 긋기 연습을 하면, 손목의 움직임을 유연하게 만들어 그림의 형태나 알파벳 글씨를 예쁘고 부드럽게 쓸 수 있게 됩니다. 연필뿐 아니라 다양한 재료를 가지고 선의 굵기와 간격을 일정하게 또는 변화를 주어 직선과 곡선, 원 등을 그려봅시다. 또한 힘의 압력도 달리하여 톤에도 다양한 변화를 시도해 봅니다.

(2) 평면적 형태 만들기

형태는 사물을 바탕과 구분 짓는 모양으로 2차원적은 평면적 형태와 3차원적인 입체적 형태로 구분됩니다. 형태는 공간, 크기, 재료들의 구성 등에 의하여 주제가 명확해집니다.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형태는 크게 자연 형태와 기하학적 형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자연 형태 : 산, 구름, 동물, 나무, 꽃 등과 같이 자연에서 볼 수 있는 유기적이고 자연적인 형태
- 기하학적 형태 : 세모, 네모, 원 등과 같이 딱딱하고 기계적인 도형의 형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