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드로잉 포트폴리오 만들기 , 드로잉 재료 I

by @*ㅔqs! 2022. 3. 24.
반응형

드로잉 포트폴리오 만들기

(1) 드로잉 포트폴리오의 활용

미국 고등학교에서 미술대학을 지망하는 경우에는 학교에서 주관하는 동아리의  미술반에서 연습을 하든가, 아니면 미술대학에서 실시하는 주말학교나 하계학교 등을 다니면서 포트폴리오를 준비합니다. 

  

  미국미술대학을 지망하는 학생들은 15~20점 정도의 작품을 제출해야 하는데, 학교마다 차이는 있지만 대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요구합니다.

 ① 드로잉 : 자화상, 인테리어 드로잉, 관찰 드로잉, 인체 드로잉 등 5~8점. 

 ② 회화 : 색채의 이해도를 알 수 있는 유화, 아크릴화, 수채화 등 5~6점. 

 ③ 입체작품 :  3~5점.

 ④ 기타 자신이 즐겨 그린 개인적인 작품(만화 , 스케치, 디자인, 콜라주, 패션 등).

 

4. 드로잉 재료

아동미술에서 재료는 수업에 대한 아이들의 흥미를 배가 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창의적인 생각을 증대시키는 매개물로서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재료는 그 과제를 수행하는데 합당한 근거가 있어야 합니다. 교사들은 과제를 제시하기에 앞서 과제에 적합한 재료와 사용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고 , 시범을 보여 주어야 합니다.

  미술교육에서 중요한 것 3가지만 말하라고 한다면 ① 생각하기, ②표현하기, ③말로 설명하기 이 빈다. 이 가운데 표현하기에서 기법과 함께 필요한 것이 재료에 대한 이해입니다. 새롭고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게 되면  생각이나 상상력이 자극을 받고 흥미를 유발하여  참신한 작품을 만드는데 도움이 됩니다. 새로운 것을 발견해 나가는 시기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아동미술에서는 특히 중요한 부분입니다. 

 

 미술재료는 크게 건성과 수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그리기'와 '칠하기'를 '그리기로 통칭하여 부르는 것과 달리 ,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그림의 종류를 '그리기 drawing'와 '칠하기 painting'로 나눕니다. 그리기, 즉 드로잉은 주로 건성 재료를 사용하여 그리는 그림을 가리키거나 연필이나 붓 등으로 선을 이용하여 그린 그림을 말합니다. 반면에 칠하기 , 즉 페인팅은 수성을 이용하여 붓으로 칠하는 그림을 말합니다. 그러나 수성과 건성 재료들을 혼합하여 부분적으로 건성 재료를 사용하고 채색은 수성 재료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1) 건성 재료 

건성 재료 dry medium라 함은 연필, 색연필, 크레용, 콩테, 목탄, 흑연가루, 유성 크레용, 마커 선을 그리는 붓 등의 재료를 말합니다. 사용이 간편하고 보관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작업 시간이 짧고 손에 주는 힘이 강약에 따라 다양한 느낌의 선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① 연필 : 18세기 후반에 콩테에 의해 발명된 뒤로 예술가들이 스케치 또는 완성된 그림을 그리는데 기본이 된 재료로, 미술을 시작하는 사람에게 가장 먼저  주어지는 도구입니다. 종류는 9H에서 9B까지 구분되어 용도에 따라 사용되고 있는데 H는 딱딱한 hard정도를 B는 부드러운 soft정도를 나타냅니다. 드로잉에는 대게 B, 2B , 4B 등이 쓰이는데, 이 종류에 선에 서부터 톤에 이르기까지 원하는 표현을 하는데 무리가 없기 때문입니다. 

 

- 흑연 연필 : 일반적으로 흑연과 찰흙을 섞어 반죽을 재료를 사용하기 편리하게 나무로 감싸 만든 것을 말합니다. 미술용 흑연 연필에는 특히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그 외에 샤프 연필, 카본, 연필, 목탄, 왁스 , 연필, 콩테 등이  있습니다.  목탄 연필은 숲을 이용하여 만든 연필로 흑연 연필보다 부드러워 톤을 그리는데 편리하여, 흰색 목탄 연필도 있습니다. 카본 연필은 찰흙과 동물 뼈를 태운 가루로 만든 검은 심 연필이며, 동물의 뼈를 얼마만큼 태우느냐에 따라 검은색, 회색, 하얀색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 흑연 가루 : 매우 자유롭고 빠르게 음영을 완성할 수 있는 미술재료로, 이것의 응용 범위는 매우 높습니다. 일반 목이나 연필이 흰 종이에 칠을 해 나가는 전통적인 방법에 쓰이는데 비해, 이것은 반대로 일단 어둡게 반대로 일단 어둡게 바탕을 칠해 놓고 밝은 부분을 지우개로 지워 나가는 방법에 적합합니다. 또한 이것은 흑백 그림뿐 아니라 정착액을 부린 뒤에 수채화 물감이나 기타 물감 등을 덧입혀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린아이들은 재료를 쏟거나 얼굴에 문지를 수 있으므로 교사의 지도를 받으며 사용하기를 권합니다. 

 

I 강도에 따른 연필의 종류

H는 '딱딱한 hard'이라는 뜻으로 숫자가 클수록 단단하여 흐린 선을 그릴 때 사용합니다. B는 'B. B '란 회사의 등록상표 이름의 약자로 연필심의 무른 정도를 수치로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숫자가 올라갈수로 고 짙고 문지르면 가루같이 명암 드로잉 등에 사용하기 좋습니다. 아이들에게는 사용하기 간편한 HB, 2B, 3B정도면 족합니다.  단단한 것에서 무른 것  순으로 나열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9H, 8H, 7H, 6H, 5H, 4H, 3H, 2H, F, HB, B, 2B, 3B, 4B ,5B, 6B, 7B, 8B, 9B

. H연필 hard pencil : 세밀하고 정확한 표현을 위해서는 좋으나 뾰족하게 갈아서 종이에 그리면 지우기가 쉽지 않습니다. 주로 사실적 묘사나 제도적인 그림에 많이 쓰입니다. 

. B연필 soft pencil :연필의 누르는 강도나 사용방법에 따라서 가벼운 톤에서부터 어두운 색까지 다양한 명암을 줄 수 있는 재료 이 빈다. 세밀한 부분은 심을 뾰쪽하게 갈고 굵은 부분은 연필 끝을 뭉툭하게 해서 그리면 되는데, 정확한 선 그림을 필요로 하는 스케치에서부터 분위기를 표현하기 위한 문지르는 그림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