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놀면서 영어 공부하는 '보물 찾기(treasure hunt)' 집콕 놀이 최고!

by @*ㅔqs! 2022. 5. 25.
반응형

 

집콕 놀이 최고! 보물찾기 

 

미세 먼지가 하루 종일 검정 해골이 뜨고 있었습니다. 하교 후엔 좀 에너지를 발산시켜줘야 하는데.. 나가지 못해서 어떡할까 고민을 해봅니다. 그러다 보물찾기 ^^ 준비를  생각하며 차차 준비 하기 시작합니다.  1호, 2호가 아주 아주 좋아하는 보물 찾기입니다.  처음엔 순수한 마음으로 시작했지만.. ㅋㅋ 누가 더 많이 찾고  적게 찾은 걸로 1호와 2호가 싸우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보물 찾기의 방법을 바꿔서 보물 찾기를 했더니 오~ 효과가 좋습니다. 심지어 1호와 2호가 의논까지 하면서  사이좋은 모습을 보여 줍니다. 하하하하 성공!

 

보물 찾기

 

 

놀면서 영어 공부하는 보물찾기 
보물찾기 방법 
① 색종이(15 cmX15 cm) 3장을 4등분 합니다.
② 총 12장의 종이 중에서 11장은   Sorry. This is not it. (이것은 아닙니다.) 
③ 마지막 한 장에 'Congratulations! ' ( 축하합니다. )  그리고 ' Play a game for 30 minutes.' 
마지막 한 장에는 아이들이 정말 원하는걸  적절히 ^^  책 한 권  구입권 기타 등등 그때그때 아이들이 하고 싶어 하는 걸  적어줬습니다. 
④ 11장을 적절히 숨겨 놓습니다.(쉽게 찾을 수 있을 정도의 난이도)
* 여기서 규칙 
저는 아이들의 집중력을 조금 더 향상하고자   11장 중에서 7장을 획득해야  마지막 히든카드의 힌트를 줍니다.^^ 제한 시간은 10분입니다.  (10분 알람이  울리면 게임은 끝이 납니다. )
10분이 지난 후 (알람이 울리고)  7장 을 획득했다면  마지막 히든카드의 힌트가 나갑니다. 

⑤자 이제  보물찾기 놀이를 시작해 보까요?  'Let's do a treasure hunt!'


지난 수학 단원이 도형이었습니다. 직각 삼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과학의 1단원은  물질과 물체를 배웠습니다. 그래서 수업 내용을 한 번 더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가져 보고자.  마지막 히든카드를 ' 갑 티슈' 안에 꼭꼭 숨겨 놨습니다. (히든카드는 절대 먼저 찾을 수 없게^^꼭 찾을 수 없는 곳에 숨기는 게 포인트입니다.)


Give a hint
The first hint
The materials of this is  paper (이것의  물질은 종이이다.)
The second hint
The shape of this is rectangular (이것의 모양은 직사각형이다. ) 

이렇게 읽어 주고 한글로도 함께 말해 줍니다. 직사각형이 rectangular 이야  화이트보드에 힌트는 미리 써주는 편이고 아이가 직접 단어를 찾아볼 때도 있습니다.  직사각형 특징이 뭔지 기억하고 있나요?  ' 네 각이 모두 직각'  정사각형의 특징은 무엇일까요? (중간에 주어지는 퀴즈를 풀면 히든카드를 찾을 수 있는 시간이 3분씩 더 늘어납니다. ).  이렇게 중간중간 용어도 물어보고 수업시간에 기억하면 좋을 거 같은 내용을  물어보면서 놀이를 하고 있습니다. 

 

* 저는 영어교사도 아니고 영어를 잘하는 엄마도 아닙니다. 가끔 아이들에게 얘기하는 영어가 영작이 잘못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전달하고 하는 요지는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영어를 접하고 듣고 말하기 가 목표인 것이지 어려운 단어나 아이가 문장을 기억하길 바래서가 아닙니다. 그래서  보물찾기 하기 전에 미리 단어도 찾아봐야 하고 준비도 해야 합니다.  아이가 적어도 첫 번째라고 말하는 게  frist 매번 듣다 보면 첫 번째 힌트 (the frist hint) 이런 단어 정도는 익숙해지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서 시작된 것입니다.  오해 없이 글을 봐주셨으면 합니다. ^^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 저도  혼자서 열심히 공부하며 아이들과 영어 공부를 하는 중이랍니다.  

보물 찾기만 하면 '내가 먼저 찾았어 '내가 먼저 봤어' 이걸로 싸우던 아이들이 머리 맞대고 힌트를 풀면서 서로의 장점을 잘 내세워 문제를 풀기 시작했습니다. 1호는  문제를 풀고 수색대인 2호는 잘 찾고 그래서 협동이 잘되어서 참 흐뭇했습니다. 그래서  집콕 놀이를 해야 할 때 보드 게임 다음으로 보물 찾기를 많이 하는 편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