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격성을 가진 아이가 되는 원인

by @*ㅔqs! 2022. 2. 9.
반응형

공격성이란 타인이나 자신에게 상처나 해가 되는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때리고 물고 치고 밀고 물건을 던지고 부수는 모든 행동이 이에 포함됩니다. 아이가 공격성을 보이는 이유는 원하는 것을  다른 사람이 해주도록 강요하기 위한 것이라고 합니다. 공격성이 강한 아이는 활동적인 놀이를 권하는 것이 좋습니다. 

5세 아이의 경우, 아직은 자신의 주장을 언어로 표현하기 미숙하므로, 다소 공격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아이의 공격성은 놀이를 할 때나 말과 행동을 통해서 관찰된다고 말합니다. 아이가 항상 공룡 인형 등으로 서로 물어뜯고 잡아먹는 놀이는 즐긴다면, 아이의 마음속에  상당한 공격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3~6세에 공격적인 성향을 고치지 않으면 청소년기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공격성을 가진 아이가 되는 원인>

1. 일관성 없는 양육 태도

: 어느 때는 아이의 공격성을 받아주다가 어느 때는 아이의 공격성에 강하게 반응한다면 아이의 공격성을 키워주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2. 지나친 학습위주의 사교육

: 5세 아이에게는 충분히 놀 수 있는 공간과 시간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요즘 5세 아이들은 너무 많은 학습을 요구받습니다. 아이가 어느 순간 폭력성을 보인다면 지나친 학습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지는 않은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3. 부모의 과잉보호

: 부모가 모든 것을 너무 받아주는 경우도 아이의 공격성을 키울 수 있습니다. 5세 아이가 공격성을 보이기 시작한다면 다 받아 줄 것이 아니라 단호하게 대처해야 합니다. 

 

4. 폭력에 노출된 주위 환경

: 부모를 포함한 아이의 주위 환경에 폭력적인 요인이 있나 살펴보아야 합니다. 부모가 부당한 체벌을 하지는 않는지 , 폭력적인 화면이 나오는 매체를 자주 접하지는 않는지, 놀이 공간이 없어 아이가  에너지를 분출하지 못하고 있지는 않는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5. 여러 가지 질환을 앓고 있을 때

: 소아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에도 아이가 공격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정신지체는 지적 수준이 저하되어 주변 상황에 대한 판단과 이해가 부족해지고 따라서 공격적 행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아이들은 또래의  장난이나 호의를 자신을 공격하는 것으로 오해해 공격적인 행동을 하기도 합니다. 주의력 결핍과 과잉 행동장애를 앓고 있는 경우도 주변의 아이들을 자주 괴롭히는 등 공격성을 보입니다. 아이가 언어 장애를 가지고 있을 경우 표현능력의 부족으로 어느 순간 공격적인 행동을 하기도 합니다. 

 

 

<공격성 풀어 주는 놀이>

 

I 모래 놀이 : 모래는 정해진 형태가 없어 만지는 대로 변합니다. 따라서 놀이의 틀이 없으므로, 경쟁도 필요 없습니다. 그래서 욕구불만이 있는 아이들에게 감정을 발산할 수 있는 좋은 놀잇감이 됩니다. 

 

I 볼링핀 두드리기 :  아이게 게 볼링핀이나 페트병처럼 손에 쥐기 쉬운 물건을 주고 마음껏 두드리면서 소리를 낼 수 있게 합니다. 화가 많이 나서 격해진 아이의 감정을 풀어주는 효과적인 놀이입니다. 

 

I 오늘 기분은 어땠니? : 잠자리에 들기 전에 아이와 하루 생활에 대해서 이야기 나눕니다. 먼저 마음에 들지 않았던 일과 그때의 기분, 좋았던 일과 그때의 기분에 대해서 이야기합니다. 특히 즐거운 일에 대한 표현을 자세히   이야기해 보도록 합니다. 

 

I 신문지 찢기 :  아이와 마주 앉아 신문지 찢기를 합니다. 마음대로 찢어도 된다고 이야기해주고 ' 길게 찢어 볼까?' ' 아주 작게 찢어 보자'등 다양한 이야기로 흥미를 유발합니다. 신문지를 모두 찢은 후에는 하늘 위로 날려 보기도 하고, 신문지 위로 굴러도 봅니다. 음악을 틀어 놓고 신문지를 날리며 춤을 추어도 좋습니다.  놀이가 끝난 후에는 신문지 조각을 함께 주워 재활용 통에 담습니다. 이런 놀이를 통해 공격적 욕구를 분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정을 조절하고 규칙을 지키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Tip>

공격적인 아이는 공격성을 을 마음껏 분출하고 발산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억지로 숨기고 억누르면 공격성이 더 강하게 작용합니다. 자신의 기분과 감정을 마음껏 표현하게 한 다음 감정을 조절하고 규칙대로 행동하는 법을 가르칩니다. 

 

 

 

반응형

댓글